당국 “세 확장시 무리한 대출 가능성”
국내 시중은행의 도쿄지점 비자금 조성 스캔들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중국·베트남 등 다른 해외의 국내은행 법인이나 지점에서도 부실대출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어 금융감독원이 실태조사에 나선다.
금융감독원은 10일 국내은행 중국법인이 자산규모를 늘리기 위해 부실대출을 취급했을 가능성에 대해 검사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본 지점처럼 구체적으로 불법이 드러난 문제는 없지만 중국법인에서도 초기 세 확장을 위한 무리한 대출 등 문제의 소지가 있어 실태를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9월 기준 국민·우리·신한·하나·외환·기업 등 6개 은행 중국법인의 전체 여신규모는 105억 7000만 달러(약 10조 9748억원)로 2010년 이후 연평균 20% 이상의 증가 폭을 보이고 있다. 국민은행(67.7%)과 기업은행(43.9%)의 증가 폭이 특히 크다. 500만 달러 이상 대규모 여신(66억 7000만 달러)도 전체의 63.1%를 차지한다.
한편 일본 현지에 있는 국내 은행 지점들의 순이익이 20%나 감소하는 등 덩치만 크고 속은 부실한 약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쿄지점의 부실대출과 비자금 조성 의혹은 수익성 악화와 현지의 리베이트 관행 등 구조적인 문제에서 출발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우리·하나·기업·외환 등 5개 은행이 운영하는 일본 현지 법인 및 지점 6곳의 지난해 말 기준 총 자산은 84억 2800만 달러(약 8조 7584억원)다. 2011년 말 대비 2억 4000만 달러(2.9%)가 늘었다. 규모는 커진 반면 수익성은 크게 떨어졌다.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4953만 달러에서 3977만 달러로 976만 달러(19.7%)가 줄었다.
일본 내 지점의 수익성 악화는 대출 브로커와 리베이트 관행 등 후진적인 업무 관행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금융권 관계자들의 말이다. 도쿄지점장으로 근무했던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본 현지은행과 비교해 금리 경쟁력이 떨어지다 보니 한인 교포나 이주 한국인 등으로 고객층이 제한돼 있어 현지 사정에 밝은 브로커를 끼고 부동산 담보대출을 해주는 일이 빈번하다”면서 “무리한 대출에 리스크가 따르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말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4-04-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