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국 규모 첫 공식 확인…이통사 일부 ‘과장 논란’

기지국 규모 첫 공식 확인…이통사 일부 ‘과장 논란’

입력 2014-07-13 00:00
수정 2014-07-13 14: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K텔레콤, LTE-A 기지국 최다…KT는 광대역 LTE 최다

이동통신 3사의 무선기지국 규모가 정부 자료로 처음 공식 확인됐다.

주파수 대역별로 광대역 LTE-A(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트)에선 SK텔레콤이, 광대역 LTE에서는 KT의 기지국이 각각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의 경우 광대역 LTE 기지국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광대역 LTE-A 기지국 수는 KT보다 많았다.

핸드폰 대리점. 연합뉴스
핸드폰 대리점.
연합뉴스
그러나 이통사들이 최근 광대역 LTE-A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기지국 숫자를 제시하며 서로 자사 서비스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홍보했는데 제시 근거가 사실과 다른 점이 확인됐다,

◇SKT 광대역 LTE-A 기지국 17만개...광고보다 적어

1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중앙전파관리소가 공개한 ‘이동통신 대역별 무선국 현황’(7월 1일 기준)을 보면 광대역 LTE-A의 경우 SK텔레콤이 17만3천219개로 KT, LG유플러스를 제치고 기지국 규모면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 수치는 SK텔레콤이 광고했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SK텔레콤은 지난달 19일 이통 3사 중 가장 먼저 광대역 LTE-A 서비스를 출시한 뒤 보도자료 등을 통해 자사 기지국수가 21만개라면서 “이통 3사 중 가장 많은 기지국을 구축, 가장 넓은 커버리지(서비스지역)을 확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숫자는 이런 광고보다 3만7천여개 적었다.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서울시 전체를 커버하는 기지국 수가 3만개 안팎이기 때문에 광고와 실제 기지국 규모간에 이처럼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측은 “기지국 신고 기준은 국소 단위여서 한개의 국소 안에 여러개 기지국이 있어도 하나만 신고한다. 이때문에 실내나 지하에 설치한 소출력 기지국 같은 경우가 통계에서 빠진 것”이라며 “전체 숫자는 21만개가 맞다”고 설명했다.

경쟁업체 관계자들은 그러나 공식 신고하지 않은 수치를 갖고 홍보에 활용하는 것은 ‘과다 마케팅’이 아니냐는 지적을 하고 있다. 또 SK텔레콤 가입자가 타사보다 2배가량 많지만 기지국 수는 이런 비율에 못미친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 KT, 광대역 LTE는 1위·광대역 LTE-A는 3위

광대역 LTE의 경우 KT가 10만7천97개로 이통3사 가운데 가장 많았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각 6만3천885개, 3만7천619개를 기록했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선보인 광대역 LTE-A를 기준으로 하면 KT는 이통3사 가운데 꼴찌다.

특히 KT의 기지국(12만6천96개)은 LG유플러스(14만6천524개)보다도 숫자가 적다.

문제는 KT가 “국내 최다 10만 광대역 기지국, 빈틈없이 촘촘한 KT 광대역 LTE-A”라고 홍보했다는 점이다.

이는 광대역 LTE 기지국이 광대역 LTE보다 속도가 3배 빠른 광대역 LTE-A를 지원하는 것처럼 광고한 것이다.

KT가 광대역 LTE-A 숫자가 적은 것은 광대역 기지국(주력망)이 아닌 LTE 기지국(보조망)이 적기 때문이다.

주파수 묶음 기술인 광대역 LTE-A를 지원하려면 20㎒폭 주력망에 10㎒폭 보조망을 하나로 묶어야 구현할 수 있다.

KT가 1.8㎓ 주파수 대역 광대역 LTE 기지국은 가장 많지만 이와 결합해 LTE-A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900㎒ 주파수 대역 기지국 수는 1만8천999개에 불과한 상태다.

이 때문에 광대역 LTE-A 기지국 수는 2위 업체보다도 2만여개 적은 것이다.

그러나 KT측은 “광대역 LTE 기지국은 타사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우리는 20㎒폭 주력망을 중심으로 10㎒폭 보조망을 덧붙이는 방식이라면 타사들은 거꾸로 느린 보조망에 주력망을 붙이는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 LG유플러스, 광대역LTE 밀리고 LTE-A는 2등

LG유플러스의 경우 광대역 LTE 기지국에서는 타사에 크게 밀리는 상태로 확인됐다.

이 회사의 광대역 LTE 기지국 수는 3만7천619개. SK텔레콤의 6만3천885개나 KT의 10만7천97개보다 적은 숫자다.

다만 광대역 LTE-A는 14만6천524개로 KT보다는 많고 SK텔레콤보다는 적은 상태다.

이런 점에서 “초광대역 LTE-A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LG유플러스의 홍보도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평가다.

이 회사는 “비디오 LTE 시대에도 1등 LTE 업체로 위상을 지키겠다”고 강조해왔다.

┌─────┬───────────┬───────────┬───────┐

│ 업체명 │ 광대역 LTE 기지국 │ 일반 LTE 기지국 │ 합계 │

├─────┼───────────┼───────────┼───────┤

│ SKT │ 63,885 │ 109,334 │ 173,219 │

├─────┼───────────┼───────────┼───────┤

│ KT │ 107,097 │ 18,999 │ 126,096 │

├─────┼───────────┼───────────┼───────┤

│ LGU+ │ 37,619 │ 108,905 │ 146,524 │

└─────┴───────────┴───────────┴───────┘

※ SKT·KT는 1.8㎓, LGU+는 2.6㎓ 대역을 기준으로 광대역 LTE 기지국 수를 산출함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