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물가 변동 극과 극은…오렌지↑ 배추↓

지난해 물가 변동 극과 극은…오렌지↑ 배추↓

입력 2015-01-06 07:49
수정 2015-01-06 07: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선식품 하락 와중에 초코파이·비스킷·핸드백 10%대 급등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년째 1.3%에 머문 가운데 조사대상 품목의 4분의 1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락률 상위권의 대부분은 배추, 양배추, 양파 등 농산물이 차지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도 10% 이상 상승한 품목은 12개였고 오렌지, 초콜릿, 돼지고기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소비자물가가 전년보다 하락한 품목은 조사대상 481개 가운데 124개로 전체의 25.8%를 차지했다.

이는 2013년의 하락품목 116개(24.1%)보다도 조금 늘어난 것이다.

하락률이 10%를 웃돈 품목도 22개로 전년(17개)보다 많았다.

지난해 오른 품목은 325개(67.6%)로 전년(333개, 69.2%)보다는 줄었다.

나머지 32개는 상승률이 0.0%로 전년의 보합 품목 숫자와 같았다.

2014년 하락률 1위 품목은 배추였다. 2010년 80.8%나 뛰어오르며 ‘금배추’로 불리기도 했던 배추지만 지난해에는 43.9% 떨어졌다.

배추와 함께 하락률 5위권은 양배추(-43.9%), 양파(-41.0%), 당근(-33.7%), 파(-31.1%) 등 농산물이 차지했다. 당근과 양파, 배추의 경우 2013년에는 전년보다 각각 51.5%, 44.8%, 19.6% 올라 상승률 5위에 들었던 품목이다.

아울러 지난해에는 배(-25.6%), 밤(-25.4%), 포도(-18.6%), 수박(-18.6%) 등 과실류의 낙폭도 컸다.

이에 따라 신선채소와 신선과일 등을 포괄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9.3% 하락하면서 관련 지수를 파악한 1990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3년(-1.3%)에 이어 2년째 하락한 것도 처음이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모발염색약(-10.6%), TV(-9.8%) 등이 많이 떨어졌다.

이처럼 지난해 낙폭이 큰 품목은 대부분 농산물이었지만, 오름폭이 큰 품목에는 상대적으로 공산품이 많았다.

대표적인 수입 농산물인 오렌지가 17.3% 뛰며 1위를 차지한 것을 빼고는 상승률 상위권에서 농산물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실제 초콜릿(16.7%), 돼지고기(15.9%), 초코파이(15.3%), 비스킷(13.0%), 고등학교 교과서(12.8%), 치약(11.7%), 핸드백(11.6%), 하수도료(11.6%), 선크림(10.8%) 등이 상승률 10위권에 들었다.

상승품목 가운데 고등학교 교과서와 선크림, 초코파이는 2013년에도 15.0%, 14.8%, 13.4% 올라 상승률이 10%를 웃돌았던 품목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