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이용시간 중 40%는 SNS 앱 차지”

“모바일 앱 이용시간 중 40%는 SNS 앱 차지”

입력 2015-01-16 14:23
수정 2015-01-16 14: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랭키닷컴 안드로이드 이용자 6만명 분석

2014년 모바일 앱 이용시간 중 40%를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앱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기업 랭키닷컴은 안드로이드 단말기 이용자 6만명을 대상으로 이용자 수가 많은 상위 50개 앱의 이용시간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SNS 앱이 40.3%로 1위를 차지했다고 16일 밝혔다.

조사 대상인 50개 앱 가운데 SNS 앱은 8개로 지난해보다 1개 줄었지만, 이용시간 점유율은 오히려 0.7%p 상승했다.

게임 분야의 이용시간 점유율은 2013년 16.1%에서 4.1%로 10%p 이상 급감했다. 앱 수도 2013년 5개에서 2014년에는 ‘애니팡2’ 1개로 줄었다.

반면 동영상이나 음악, 웹툰 등의 멀티미디어 분야는 11.1%에서 17.1%로 큰 폭으로 성장해 대조를 이뤘다.

개별 앱의 이용시간 점유율 순위는 카카오톡(22.12%)·네이버(12.10%)·유튜브(9.64%) 순으로 전년과 같았다.

카카오톡은 26.28%에서 22.12%로 점유율이 다소 하락한 가운데 네이버가 10%대를 돌파했고 유튜브는 2%p 가까이 성장하며 카카오톡과의 간격을 좁혔다.

페이스북은 2013년 5위에서 2014년 4위로 순위가 한단계 상승했다. 2013년 4위였던 게임 ‘모두의 마블’은 순위에서 사라졌다.

또 동영상 서비스인 MX플레이어·네이버 미디어 플레이어와 소셜커머스 쿠팡·위메프, 네이버의 모바일 메신저 라인 등이 탑 20에 새롭게 진입했다.

한광택 랭키닷컴 대표는 “이전까지 스마트폰에서의 엔터테인먼트 시장은 게임 앱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지만 2014년에는 동영상·음악·웹툰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이동하는 경향이 뚜렷했다”며 “재미있는 동영상과 좋은 음악을 친구와 함께 소비하고 싶어하는 이용자들의 경향 때문에 SNS 시장이 활성화될수록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성장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