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여파로 수천명에 이르는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가 무더기로 한국 방문을 취소하는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지난해 610만명이 방한, 우리나라의 관광·유통산업을 떠받쳤던 ‘유커 특수’가 메르스 확산 탓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2일 국내 여행사 1위업체인 하나투어에 따르면 오는 4일부터 11일까지 패키지여행 상품을 이용해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에서 출발, 우리나라에 입국할 예정이었던 중국인 300여명이 예약을 취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상하이가 200명, 베이징이 100명이었다.
2위업체인 모두투어에서도 6월 한국여행상품의 유커 예약 취소율이 9%에 이르고 있다.
이들 국내 여행사 ‘빅2’외에도 무허가업체를 포함, 중국인 전담 여행사가 전국적으로 190여개에 이르고 있는 만큼 예약취소 사태는 대규모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전담 A여행사의 대표는 “한달평균 중국인 관광객 50만명이 우리나라를 방문한다고 봤을 때, 이들의 한국여행 취소율이 평균 15%가량으로 봐야 한다”며 “이 경우 한국방문을 포기한 중국인 수는 어림잡아 7천명 이상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중국전담 B여행사 관계자는 “유커 뿐만 아니라 대만과 홍콩 관광객도 방한 예약을 취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국여행을 계획했던 중국인 관광객이 관광시장에서 우리나라와 경쟁관계에 있는 일본으로 발길을 돌릴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메르스 사망자가 더 생기고 여파가 커진다면 유커 유치에도 적신호가 켜질 수밖에 없다”며 “특히 상당수 유커가 한국 대신 일본관광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7∼8월 출발할 해외 여행상품을 예약했던 내국인도 메르스 확산때문에 여행을 자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날 하나투어의 해외여행상품 예약 취소건수가 평균에 비해 10% 증가했다.
모두투어는 해외여행 취소를 문의하는 전화가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인터파크투어의 해외여행상품 예약 취소사례는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인터파크투어 관계자는 “두바이 등 중동 여행상품의 경우 상품 수 자체가 적어 취소건수는 아직 10건 미만”이라고 말했다.
모두투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대규모로 해외여행을 취소하는 사태는 아직 빚어지지 않고 있다”며 “다만 여름휴가철인 7∼8월 해외여행을 예약한 사람의 문의전화는 평소보다 많이 걸려오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610만명이 방한, 우리나라의 관광·유통산업을 떠받쳤던 ‘유커 특수’가 메르스 확산 탓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2일 국내 여행사 1위업체인 하나투어에 따르면 오는 4일부터 11일까지 패키지여행 상품을 이용해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에서 출발, 우리나라에 입국할 예정이었던 중국인 300여명이 예약을 취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상하이가 200명, 베이징이 100명이었다.
2위업체인 모두투어에서도 6월 한국여행상품의 유커 예약 취소율이 9%에 이르고 있다.
이들 국내 여행사 ‘빅2’외에도 무허가업체를 포함, 중국인 전담 여행사가 전국적으로 190여개에 이르고 있는 만큼 예약취소 사태는 대규모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전담 A여행사의 대표는 “한달평균 중국인 관광객 50만명이 우리나라를 방문한다고 봤을 때, 이들의 한국여행 취소율이 평균 15%가량으로 봐야 한다”며 “이 경우 한국방문을 포기한 중국인 수는 어림잡아 7천명 이상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중국전담 B여행사 관계자는 “유커 뿐만 아니라 대만과 홍콩 관광객도 방한 예약을 취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국여행을 계획했던 중국인 관광객이 관광시장에서 우리나라와 경쟁관계에 있는 일본으로 발길을 돌릴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메르스 사망자가 더 생기고 여파가 커진다면 유커 유치에도 적신호가 켜질 수밖에 없다”며 “특히 상당수 유커가 한국 대신 일본관광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7∼8월 출발할 해외 여행상품을 예약했던 내국인도 메르스 확산때문에 여행을 자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날 하나투어의 해외여행상품 예약 취소건수가 평균에 비해 10% 증가했다.
모두투어는 해외여행 취소를 문의하는 전화가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인터파크투어의 해외여행상품 예약 취소사례는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인터파크투어 관계자는 “두바이 등 중동 여행상품의 경우 상품 수 자체가 적어 취소건수는 아직 10건 미만”이라고 말했다.
모두투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대규모로 해외여행을 취소하는 사태는 아직 빚어지지 않고 있다”며 “다만 여름휴가철인 7∼8월 해외여행을 예약한 사람의 문의전화는 평소보다 많이 걸려오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