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기 금투협회장 中 출장 취소
“본사 방침에 따라 한국은 당분간 출장 제외 국가로 지정됐습니다. 방문 일정을 취소하겠습니다.”
한화자산운용은 업무 파트너인 미국계 대형 자산운용사인 L사로부터 최근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때문에 당초 16~17일로 예정됐던 한국 방문 일정을 취소하겠다는 내용이었다. L사 임원들은 1년에 한 번 한국을 방문해 L사 상품을 위탁 판매하고 있는 한화자산운용과 투자자들에게 새 상품을 소개해 왔다. 한화자산운용 측은 16일 “L사 상품들을 국내 기관투자가들에게 소개할 좋은 기회였는데 (메르스 여파로) 안타깝게 됐다”고 전했다.
메르스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금융권에도 ‘코리아 포비아’(한국 기피 현상)가 번지고 있다. 해외 출장 일정이 잡혀 있던 금융권 임직원들은 해외쪽 업체들이 “오지 말라”고 펄쩍 뛰는 통에 발이 묶이고, 해외 파트너들은 한국 방문 일정을 취소하거나 줄줄이 연기하고 있다. 가뜩이나 수익률 하락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금융권이 해외시장 개척과 협업에 차질을 빚을까봐 노심초사하는 양상이다.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은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잡혀 있던 중국 출장 일정을 취소했다. 당초 협회 주최로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등 국내 13개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중국 베이징·상하이·항저우 등을 돌며 기업설명회(IR) 및 한·중 공동 투자 논의, 현지 시장조사 등을 진행하려던 차였다. 중국 측에서는 알리페이, 해통증권,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CIC) 등의 기업들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금투협 관계자는 “중국 쪽에서 행사를 무기한 연기 요청했다. 오랫동안 준비했던 행사인데 맥이 빠진다”고 토로했다.
오는 11월 목표로 필리핀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은행도 울상이다. 이달 말쯤 필리핀 상공부와 국책은행 관계자 등 7명이 기업은행 본점을 방문해 투자유치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었지만 이 역시 취소됐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마닐라 지점 개설을 추진하면서 필리핀 정부 관계자들과 친분을 쌓고 현지 유망 기업을 소개받으려고 했는데 메르스 때문에 무기 연기됐다”고 말했다.
비씨카드도 이달에 잡혀 있던 두 건의 중국 출장을 현지 업체 요청에 따라 ‘화상 통화’로 대체했다.
그렇더라도 아직 ‘차질’ 단계까지는 아니라는 게 금융권의 전언이다. 권선주 기업은행장만 해도 최근 영국 런던에서 HSBC와 ‘핀테크’ 업무협약을 맺었다. 한 금융권 인사는 “최근 유럽 출장을 갔다가 혹시나 불안해할 해외 파트너를 위해 손 세정제를 선물로 건네며 ‘위생에 신경 쓰면 문제가 없다’고 안심시켰다”면서 “아시아권을 제외하곤 아직까지 한국에 대한 (해외) 경계감이 심각하지 않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면 비즈니스에도 타격을 입을 수 있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6-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