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놓지 않는 20대…”하루 3시간44분 이용”

스마트폰 놓지 않는 20대…”하루 3시간44분 이용”

입력 2015-07-17 13:34
수정 2015-07-17 1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 20대는 하루 평균 모바일을 3시간 44분 동안 이용하며 짧고 가벼운 모바일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KT경제경영연구소와 전국 20대 남녀 918명을 대상으로 공동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소는 설문조사와 조사 대상의 24시간을 밀착 관찰하는 ‘라이브톡’이라는 기법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조사 대상이 된 대학생 유모씨는 아침에 눈 뜨자마자 머리맡의 휴대전화를 찾아 지난밤에 친구들이 보낸 카카오톡을 확인하고 네이버에 오늘 날씨를 검색한다.

학교 수업을 들으면서도 연신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을 확인하고 식사 중에는 친구가 공유한 동영상을 감상하며, 자기 전에 침대에 누워서도 새로 올라온 웹툰을 본다.

이런 식으로 온종일 휴대전화를 손에서 놓지 않는 20대의 하루 평균 모바일 이용 시간은 3시간 44분이었다. 잠자는 시간(평균 7시간 2분)을 제외하면 하루의 5분의 1을 모바일 화면을 보며 지내는 셈이다.

20대는 메신저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뿐만 아니라 검색, 일정관리, 계좌이체와 같은 생활 전반에서 다른 어떤 수단보다도 모바일을 편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황별로 모바일 사용을 더 편하게 생각하는 비율은 ▲ 페이스북 이용 69.5% ▲ 네이버 포털 검색 66.1% ▲ 일정관리 61.7% ▲ 계좌 이체 60.3% 등이었다.

또 20대는 휴식시간(하루 평균 50.2분)에 모바일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 가장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느끼는 순간은 대중교통·차량 이용 시(27.6%)라고 응답했다. 가장 집중해서 이용하는 시간은 잠자리에 들기 전(26.5%)인 오전 0∼1시였다.

20대가 선호하는 모바일 서비스로는 네이버가 압도적이었다.

원하는 정보를 찾거나(78.5%) 최신 이슈가 궁금할 때(59.2%) 20대는 네이버를 가장 먼저 찾았다. 콘텐츠 주제별 정보 습득 경로에서도 총 13개의 주제 중 11개에서 네이버가 1위로 선정됐다.

타인과의 네트워킹 서비스로는 단연 카카오톡(78%)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20대는 하루 평균 새로운 채팅방을 10.2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대는 짧고 가벼운 콘텐츠를 선호하는 ‘스낵컬처’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들이 콘텐츠를 끝까지 보는 비율은 ▲ 동영상 46.0% ▲ 그림/일러스트 46.0% ▲ 텍스트 42.4% ▲ 사진/움짤 42.4% ▲ 인포그래픽 24.8%로 모든 유형에서 완독 비율이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콘텐츠의 분량도 ▲ 동영상 43.1초 ▲ 텍스트 14.4문단(약 30줄) ▲ 그림/일러트스 17장 ▲ 사진/움짤 10장 ▲ 인포그래픽 9.3장으로 매우 짧았다.

20대가 모바일로 정보를 탐색할 때 가장 신뢰하는 경로는 블로그(43.0%)였다. 콘텐츠의 신뢰도를 판단할 때는 콘텐츠 공감/좋아요 수(18.7%), 콘텐츠 베스트 댓글(14.9%) 등 사용자들의 반응을 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