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내일 은행장들과 회동… 한계기업 신속한 대응 독려할 듯
금융 당국의 이른바 ‘좀비’ 기업 구조조정이 빨라지고 있다. 기업 부실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른 데다 내년 4월 총선 국면과 뒤엉키면 구조조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27일 신한과 KB국민, 하나KEB, 우리은행 등 6~7개 주요 시중은행장을 만난다. 구조조정을 독려하기 위해서다. 진 원장은 이 자리에서 신속하고 엄격히 구조조정을 요청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채권은행의 기업신용위험 평가 등 한계기업 대응 현황이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즉각 현장검사에 나설 방침이다. 올해 말과 내년 초까지 대출과 보증으로 연명하는 ‘좀비’ 기업 분류 작업을 마치고 내년 총선을 넘겨 실질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금융권의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행보다.
앞서 금감원은 이달 중순 시중은행과 신용카드·캐피탈사, 저축은행, 상호금융사에 “최대한 엄격한 기준으로 대출 자산 건전성 분류를 하라”고 공문도 보냈다. 엄격한 기준으로 자산을 분류하면 고정이나 회수의문, 추정 손실 등 부실 대출 비중이 과거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비중이 늘어나면 금융사들은 그만큼 많은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기업 부실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만큼 자산 건전성을 보수적으로 따져 최대한 많은 충당금을 쌓아 놓으라는 지침을 내린 것이다.
금감원은 또 이달까지 완료할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나 11~12월 중 진행할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도 엄격하게 추진하라는 지침을 금융사에 전달했다.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때에는 계열 전체뿐만 아니라 소속 기업을 꼼꼼하게 들여다보라고 주문했다. 이는 채권은행이 더 많은 기업을 C등급 이하로 분류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A~D등급 체계에서 C등급 이하는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가 필요한 기업이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10-2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