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다음 달 2일부터 한국인터넷진흥원과 이동통신 3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휴대전화 음성 스팸 차단서비스를 시행한다고 30일 밝혔다.
휴대전화 문자 스팸은 지속적인 정부의 대응 강화, 사업자의 자율적 규제 등으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최근에는 음성을 통한 스팸이 신종 스팸 발송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
음성 스팸은 불법 대출 안내, 통신·인터넷 가입 권유 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인터넷진흥원이 음성 스팸으로 신고·접수된 내역을 분석해 차단 대상을 선정한 뒤, 이들 전화번호 목록을 이통사에 실시간으로 제공해 해당 번호는 일정 기간 수신이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식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통사에 따라 일괄적으로 음성 스팸 번호를 차단하기도 하고, 어떤 이통사는 차단에 동의한 고객에게만 차단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불법 음성 스팸을 수신한 사람은 스마트폰(아이폰 제외)에 설치된 스팸 간편신고 기능을 이용하거나 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spam.kisa.or.kr), 무료 신고전화(☎ 118)를 통해 신고할 수 있다.
방통위는 앞으로 스팸 방지 애플리케이션(후후, 후스콜, 티전화 등) 사업자에게도 음성 스팸 발송자 정보를 제공해 점차 고도화·지능화하는 불법 스팸 발송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휴대전화 문자 스팸은 지속적인 정부의 대응 강화, 사업자의 자율적 규제 등으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최근에는 음성을 통한 스팸이 신종 스팸 발송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
음성 스팸은 불법 대출 안내, 통신·인터넷 가입 권유 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인터넷진흥원이 음성 스팸으로 신고·접수된 내역을 분석해 차단 대상을 선정한 뒤, 이들 전화번호 목록을 이통사에 실시간으로 제공해 해당 번호는 일정 기간 수신이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식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통사에 따라 일괄적으로 음성 스팸 번호를 차단하기도 하고, 어떤 이통사는 차단에 동의한 고객에게만 차단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불법 음성 스팸을 수신한 사람은 스마트폰(아이폰 제외)에 설치된 스팸 간편신고 기능을 이용하거나 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spam.kisa.or.kr), 무료 신고전화(☎ 118)를 통해 신고할 수 있다.
방통위는 앞으로 스팸 방지 애플리케이션(후후, 후스콜, 티전화 등) 사업자에게도 음성 스팸 발송자 정보를 제공해 점차 고도화·지능화하는 불법 스팸 발송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