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서울서 문연 음식점·술집 등 폐업률 48%…스타벅스는 0%

2013년 서울서 문연 음식점·술집 등 폐업률 48%…스타벅스는 0%

김태이 기자
입력 2019-10-03 11:07
수정 2019-10-03 1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반음식점 38%, 편의점 41%, 카페 45%가 문닫아…룸살롱 폐업률은 6%

2013년 서울에 새로 생긴 음식점, 카페, 술집 등 식품위생업소 가운데 48%가 폐업한 것으로 분석됐다. 카페 폐업률도 40%를 넘었지만 스타벅스는 한 곳도 사라지지 않았다. 유흥업소인 룸살롱 폐업률도 5%에 불과했다.

3일 서울열린데이터광장의 서울시 식품위생업소 현황 데이터를 분석해본 결과 2013년 문을 연 3만1천318개 업소 가운데 48%(1만5천26개)가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폐업한 상태였다. 나머지 52%(1만7천292개)는 영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 편의점, 카페, 마트, 술집 등이 속한 식품위생업은 진입장벽이 낮아 자영업자들이 많이 몰리는 대표적인 업종이다. 스타벅스와 같은 직영점도 일부 있지만, 개인사업자와 가맹점주가 운영하는 점포가 대다수다.

2013년 영업을 시작한 식품위생업소 가운데 일반음식점은 1만4천145개였고, 이 중 38.5%(5천443개)가 폐업했다.

분식집처럼 끼니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곳 위주인 휴게음식점 폐업률은 50.0%(4천618개 중 2천292개)로 더 높았다. 두 곳 중 한 곳은 6년 사이 망한 셈이다.

파리바게뜨 등이 속한 제과점은 525개 중에서 53.7%(282개)가 문을 닫았다.

크로켓이나 만두, 닭강정 등을 파는 즉석판매제조가공업소는 1천598개 가운데 72.4%인 1천157개가 사라졌다. 특정 간식류나 디저트가 유행을 타면 동네에 가게가 우후죽순 생겨났다가 인기가 시들해지면 언제 그랬냐는 듯 빠르게 사라지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들을 제외한 식품위생업소에는 식품 등 수입업소, 식품 운반업소, 급식소, 단란주점 등이 있다.

음식점 폐업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인건비와 임대료 상승, 경기둔화로 주춤해진 소비 증가세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직을 한 경우 특별한 대안이 없어 폐업률이 높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영업에 뛰어드는 경우도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용 여건이 좋지 못해 별다른 준비 없이 창업하는 이들이 많다. 이에 자영업 폐업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음식점은 늘어났는데 경기둔화로 소비가 따라가 주질 못하며 업황이 나빠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식품위생업소를 세부 업태별로 보면 편의점 폐업률도 40%대로 나타났다.

2013년 서울에 새로 생긴 편의점 240개 가운데 41%인 99개는 문을 닫았다. 폐업한 곳은 CU(씨유)가 54개, GS25가 15개, 세븐일레븐이 8개, 미니스톱이 7개, 기타 편의점이 15개였다. 1인 가구 증가 속에 동네 편의점이 빠르게 늘어났지만, 그만큼 경쟁도 치열해진 결과다.

스타벅스 등 대형 업체부터 소규모 개인 카페까지 2013년 한 해 카페만 3천199개가 생겼고, 이 중 45%인 1천441곳은 폐업했다. 문을 닫은 카페의 절대다수는 개인사업자가 하는 소규모 카페였다. 특히 그해 새로 생긴 스타벅스 68개 가운데 문을 닫은 곳은 단 한 군데도 없어 폐업률이 0%였다.

한편 룸살롱은 53개가 새로 생겼고 이 중 강남구 역삼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금천구 시흥동에 있는 3곳만 닫으며 폐업률은 5.7%에 불과했다.

횟집 폐업률은 45.1%, 분식집은 44.3%, 경양식은 41.5%, 중식은 38.1%였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