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신차 가운데 현대 그랜저(2.5 가솔린)에서 두통이나 눈 따가움 등을 유발할 수 있는 톨루엔 성분이 기준을 초과해 검출됐다.
28일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국내에서 제작·판매된 6개사 18개 차종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을 조사한 결과 현대 그랜저(2.5 가솔린)가 권고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시정조치했다고 밝혔다.
톨루엔은 자동차 부품 마감재나 도장용 도료 등에서 나오는 휘발성 물질이다. 암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보통 ‘새차 냄새’로 여기는 화학성분 냄새가 난다. 또, 두통과 눈 따가움 증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현대차 측은 콘솔박스 스토리지(운전석 옆 수납공간) 부품 제작 과정에서 이를 건조하는 설비가 톨루엔에 오염돼 기준치 이상이 검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제작 공정 중 부품 건조과정과 작업용 설비 부자재의 관리규정을 개선해 휘발성 유해물질을 최소화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개선 현황을 확인하고, 현재 생산되는 차량을 무작위로 5대 뽑아 추가시험해본 결과 모두 권고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토부 조사에서는 현대차그룹이 생산한 차 가운데 GV80의 내부에서 톨루엔이 기준치를 넘겨 검출됐었다.
이밖에 조사 대상이었던 기아의 K8·스포티지·EV6, 현대의 투싼·아이오닉5 등에서는 톨루엔을 포함한 실내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배석주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은 “엄정한 조사를 통해 제작사의 실내공기질 관리 개선노력을 적극 유도해나가겠다”면서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이 초과한 제작사·차량은 지속적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도록 제도도 개선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