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60회 입항… 방문객수 62만여명
새해 올해 대비 19% 증가…80만 명 예상
내년 10월쯤 항만 첫 무인자동심사대 도입

지난 5월 서귀포 강정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에서 상해발 대형 크루즈선 ‘스펙트럼 오브 더 씨(SPECTUM OF THE SEAS)호’가 첫 입항했다. 제주도 제공
‘바다 위 호텔’ 국제크루즈 관광객이 내년 제주 방문이 20%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다.
제주도는 2023년 3월 재개된 국제 크루즈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5년에는 더욱 큰 성장이 예상된다고 24일 밝혔다.
2024년 11월 30일 기준 올해 국제 크루즈 입항은 260회를 기록했으며 방문객 수는 총 62만 3000여 명에 달했다.
특히 올해 크루즈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 관광객은 48만 4000여 명으로 77.8%를 차지했으며, 연말까지 약 2만명이 추가 방문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계절적 요인과 함께 탄핵정국이 맞물리면서 크루즈 방문객이 약 10% 정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새해에는 올해 대비 약 19% 증가한 총 344항차의 선석이 배정됐다. 이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약 80만 명의 크루즈 관광객이 제주를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도는 내년 10월쯤 제주항(10대)과 강정민군복합형관광미항(28대)의 크루즈 전용 터미널에 국내 항만 최초로 무인자동심사대 38대가 도입된다. 도는 신속한 출입국 절차를 위해 법무부와 협의해서 내년도 예산 52억원이 반영됐다.
도 관계자는 “현재 국제 크루즈 관광객의 제주 평균 체류시간은 8시간이지만 실제로는 입국심사에 2시간, 출국 보안검색에 1~2시간이 소요돼 실질적인 체류시간은 4~5시간 밖에 안 된다”며 “자동심사대가 도입되면 4000명 기준 최대 1시간 이상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도는 현재 최대한 신속 절차를 밟기 위해 크루즈가 입항하기 전 심사관이 미리 배에 올라 입국 심사를 하는 ‘승선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도는 크루즈 관광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 크루즈 선석 배정 시 제주산 선용품 및 청수 공급, 지역 상권 방문, 준모항 육성 등을 고려하고 있다.
아울러 제주도는 원도심 관광 안내지도 배포, 지역 상권 연계 소비 이벤트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증가하는 개별 관광객을 위한 맞춤형 정책도 강화할 예정이다.
정재철 도 해양수산국장은 “크루즈 관광객들의 제주 체류 시간을 늘리고 만족도를 높여 지역 상권과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속적으로 해외선사 유치를 위한 마케팅을 펼친 결과 지난 11월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2024 상하이국제크루즈서밋 우송코포럼’에서 중국 크루즈 최다 기항지로 선정돼 비즈니스 파트너상을 수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