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월부터 연간 22만건 이상 접수되는 건설 공공데이터의 공개를 확대한다. 국토교통부와 건설산업정보원은 건설업체와 건설공사 정보를 활용해 민간에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을 31일부터 구축하고 순차적으로 공개한다고 28일 밝혔다.
건설산업정보원은 건설산업종합정보망(KISCON)으로 건설업체 등록정보와 공사정보 관리 및 유지보수공사 실적을 관리하고 있다. 국토부는 10월부터 발주자가 입찰 전 입찰 참여 가능 업체의 수와 해당 업체들의 주력 분야와 실적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개방한다. 아울러 건설사가 업종·지역별 건설사들의 실적과 기술인 수 등 평균을 자사의 수치와 비교 분석할 수 있게 건설사 역량진단 서비스도 제공한다.
내년에는 발주자가 건실한 건설사를 찾을 수 있도록 ‘적정공사업체 분석 서비스’도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공사 지역 및 종류에 따라 이에 적합한 건설사들의 실적과 행정처분, 보유기술인 수 등 정보를 제공하고 업체 간 비교·분석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발주자·건설사가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법행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불법행위 의심 사항 자가 진단 서비스도 도입한다.
건설산업정보원은 건설산업종합정보망(KISCON)으로 건설업체 등록정보와 공사정보 관리 및 유지보수공사 실적을 관리하고 있다. 국토부는 10월부터 발주자가 입찰 전 입찰 참여 가능 업체의 수와 해당 업체들의 주력 분야와 실적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개방한다. 아울러 건설사가 업종·지역별 건설사들의 실적과 기술인 수 등 평균을 자사의 수치와 비교 분석할 수 있게 건설사 역량진단 서비스도 제공한다.
내년에는 발주자가 건실한 건설사를 찾을 수 있도록 ‘적정공사업체 분석 서비스’도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공사 지역 및 종류에 따라 이에 적합한 건설사들의 실적과 행정처분, 보유기술인 수 등 정보를 제공하고 업체 간 비교·분석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발주자·건설사가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법행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불법행위 의심 사항 자가 진단 서비스도 도입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