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단체장 취임 100일에 부쳐/이동구 사회2부장

[데스크 시각] 단체장 취임 100일에 부쳐/이동구 사회2부장

입력 2014-10-07 00:00
수정 2014-10-07 05: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논설위원
민선 6기 자치단체장에는 정치 거물들이 대거 입성해 지방행정에 굵직굵직한 변화들이 감지되는 등 주민들의 기대를 한껏 모았다. 취임 100일을 앞둔 현재 그들의 성적표는 어떨까. 솔직히 전임자들보다 더 낫다는 징후를 찾기는 어렵다.

안상수 창원시장은 최근 시의원으로부터 계란 세례를 받고 전치 2주의 진단을 받았다. 해당 시의원은 구속됐지만 한때 거물로 통했던 안 시장의 체면은 말이 아니었으리라 짐작된다. 발단은 전임 시장이 결정했던 프로야구단의 야구장 건립지를 뒤집은 데 대한 불만이었다. 표현 방법은 잘못됐지만 계란을 던진 심경은 십분 이해가 된다. 시장과 마찬가지로 한 지역의 대표로서 지역민과의 약속을 어길 수밖에 없게 됐으니 화가 날 만도 하다.

이처럼 단체장들이 전임자가 추진했던 사업들을 하루아침에 없었던 일로 만들거나 선거기간 약속한 공약들을 나 몰라라 내팽개치고 있어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전남도의 경우 박준영 전 지사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했던 ‘사파리 아일랜드’ 조성사업을 중단했다. 울산시는 문수축구경기장 내 유스호스텔 리모델링 사업을 백지화했다. 이시종 충북지사의 경우 벌써 6·4 지방선거 당시의 공약 가운데 21개를 포기한다고 밝혔다.

기초자치단체장들의 행태도 비슷하다. 청주시장은 10%가 넘는 공약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제천시장은 전임자의 7개 핵심사업 가운데 6개를 재검토하기로 했다고 한다. 전주시장 역시 전임시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종합경기장 개발사업을 재검토하기로 하는 등 전국 자치단체마다 공약을 파기하거나 전임자의 역점사업을 재검토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선거 당시 내걸었던 공약이 모두 금과옥조(科玉條)가 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지역사정과 사안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그러나 선거 과정에서 유권자들에게 공식적으로 한 약속인 만큼 단체장은 최대한 지켜내려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됐다면 자초지종을 주민들에게 설명해야 한다. 그리고 약속을 못 지킨 데 대한 사과는 있어야 한다. 그것이 자신을 믿고 따라준 유권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하지만 임기 시작 4개월도 채 되지 않아 공약파기의 뜻을 비친 단체장들에게는 그런 노력들을 찾기 어렵다. 공약을 만들 때 너무나 쉽게 여겼기에 파기 또한 쉽게 생각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밖에 없다. 공약파기를 사과하는 단체장은 더욱 찾기 어렵다. 한 광역단체장은 공약파기를 발표하는 일을 공무원들에 맡기고 자신은 그 자리에 나타나지도 않았다고 한다. 유권자들을 우습게 본다는 증거가 되기에 충분하다.

전임자의 주요 추진사업들을 중단하는 행위 또한 신중해야 한다. 전임자가 추진한 사업에는 이미 소중한 예산과 행정력이 투입됐다. 쉽게 뒤집으면 안 되는 이유다. 정약용 선생은 공적재물을 절약하는 것이 목민관의 으뜸 덕목이라고 했다. 더구나 이는 행정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훼손하는 것이 된다.

아무리 작은 기관의 업무라도 신뢰성을 잃는다면 행정력은 제대로 발휘될 수 없다. 최근 취임 100일을 맞아 광역 자치단체장들이 인터뷰를 통해 공무원연금개혁, 중앙권력의 지방이양, 담뱃값 인상 반대 등의 다양한 의견들을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공약은 반드시 실천하겠다”고 밝힌 몇몇 광역단체장의 약속이 훨씬 더 믿음직스럽다.

yidonggu@seoul.co.kr
2014-10-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