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헌 소지 없는 군 가산점제 대안 제시해야

[사설] 위헌 소지 없는 군 가산점제 대안 제시해야

입력 2012-07-26 00:00
수정 2012-07-26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일생 병무청장이 그제 군 가산점제 부활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청장은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군 가산점제가 재도입되면) 병역의무 자진 이행 풍토 조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961년부터 군 복무를 마친 경우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만점의 3~5%를 더 주는 군 가산점제도가 실시됐으나, 1999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군 가산점제는 중단됐다. 그 뒤에도 병무청이나 국방부 등에서는 간헐적으로 군 가산점제가 부활돼야 한다는 주장을 해 왔다. 그제 김 청장이 국회에서 밝힌 것도 같은 연장선상에 있다. 국민의 80% 이상이 군 가산점제 부활을 찬성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근거로 제시하기도 했다.

지원병제가 아닌, 징병제하에서 2년 가까이 군 복무를 마친 젊은이들에게 국가가 어느 정도 보상이나 예우를 할 필요는 있다. 지금과 같이 남북이 대치하는 상황이라면 더 그렇다.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내릴 당시에도 가산점 제도 자체를 문제 삼지는 않았다. 다만 군 복무를 마친 경우 만점의 3~5%를 가산점으로 주는 것은 치열한 경쟁에 따라 근소한 점수 차이로 합격, 불합격이 결정되는 상황에서 지나치다는 게 헌법재판소의 의견이었다. 군 가산점제 부활에 대해 여성계와 장애인들은 역차별이라며 거세게 반대하고 있다.

군 가산점제 재도입은 매우 미묘한 사안으로, 공론에 부칠 필요가 있다. 18대 국회 시절 의원입법 형태로 득점의 2~3% 범위 내에서 가산점을 주자는 안도 나왔었다. 군 가산점제를 부활해야 하는지, 그럴 경우 어느 정도까지 가산점을 주면 납득이 가능한지에 대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 국방부와 병무청은 위헌 소지가 없는 범위 안에서 군 가산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군 가산점제 부활에 대해서는 이해 관계자가 첨예하게 맞선 상황이니만큼 성급히 결정해서는 안 된다.

2012-07-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