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석열의 잦은 ‘차별 실언’, 이쯤 되면 신념 아닌가

[사설] 윤석열의 잦은 ‘차별 실언’, 이쯤 되면 신념 아닌가

입력 2021-12-23 20:10
수정 2021-12-24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전북대학교 최명희홀에서 학생들과 타운홀미팅을 하던 중에 저소득층은 자유의 필요성을 모른다는 식의 발언을 해 논란을 일으켰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전북대학교 최명희홀에서 학생들과 타운홀미팅을 하던 중에 저소득층은 자유의 필요성을 모른다는 식의 발언을 해 논란을 일으켰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그제 전북대 타운홀미팅에서 “극빈의 생활을 하고 배운 것이 없는 사람은 자유가 뭔지도 모를 뿐 아니라 자유가 왜 개인에게 필요한지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한다”면서 “자유의 본질은 일정 수준의 교육과 기본적인 경제 역량이 있어야만 존재한다”고 말해 저소득층 폄하 논란을 일으켰다.

윤 후보는 논란 이후 “상당한 세금을 걷어서 어려운 사람들과 함께 나눠서 그분들에 대한 교육과 경제 기초를 만들어 주는 것이 자유의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설명했지만, 윤 후보의 과거 발언들을 돌아볼 때 뼛속 깊은 계층차별적 인식과 엘리트 의식이 자리잡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윤 후보는 전두환씨를 옹호한 발언에 대해 사과하라는 여론의 압박을 받자 마지못해 사흘 뒤에나 사과를 한 뒤 인스타그램에 개에게 사과를 건네는 사진을 올려 국민 모독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지난 7월 정권교체를 목표로 정치권에 뛰어든 뒤 윤 후보는 ‘1일 1실언’이라고 할 정도로 비상식적인 발언을 이어 갔다. 특히 저소득층을 향해 다양한 실언을 쏟아냈다. 7월에는 “가난한 사람은 부정식품이라도 먹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했는가 하면 9월에는 “손발 노동은 아프리카에서나 하는 것”이라고 해 빈축을 샀다. 이달 관훈클럽 초청토론회에서는 “최저임금이 180만~200만원이라고 하면 ‘150만원으로도 충분히 일할 용의가 있다’는 사람이 있는데…”라고 했다. 이는 앞서 “주당 120시간 근무 지지” 언급과 함께 노동자의 권익 등을 침해하는 발언이라 할 수 있다.

윤 후보 측에서는 저소득층의 어려운 처지를 안타까워하는 마음에 자유권을 누리기 위한 사회경제적 조건을 말한 것이라고 해명하지만, 곧이곧대로 들리지 않는다. 지금껏 논란을 일으킨 발언과 노동관 등에 비춰 볼 때 취약계층에 대한 강자의 시혜적 태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탓이다. 실수가 잦으면 고의라고 여길 수밖에 없듯이 차별적 발언이 계속된다면 윤 후보의 신념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연설로 국민을 설득하는 직업이 정치인인데 오해라고만 주장해서는 안 된다.

2021-12-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