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아빠 전성시대/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아빠 전성시대/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기자
입력 2015-02-26 18:10
수정 2015-02-26 18: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TV를 틀면 ‘아빠 전성시대’다. 영화 ‘국제시장’으로 산업화 세대 아버지 덕수의 헌신에 열광하면서도 파독 간호사로 생고생한 덕수 아내의 수고는 그저 묻어서 평가하는 듯하다. 아빠와 엄마의 고생을 편 갈라서 누가 더 고생했나 경연을 붙이고 편애를 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날 대중매체에서 건전한 엄마가 사라진 것 같아 섭섭하다. ‘엄마’는 아침 드라마 등에 건재한데 ‘막장 캐릭터’라는 것이 문제다. 개명한 21세기에도 시어머니라는 지위만으로 며느리와 사돈네에 막말을 일삼고, 남편에게는 벌이가 시원찮다며 구박하는 몰상식한 인물들로 나온다. 한겨울 얼음장을 깨고 빨래를 하다 동상에 걸린 엄마나, 본인은 무학이지만 가난 속에서 아들딸을 고등교육까지 시키는 엄마가 대중문화에서 사라진 지 오래다.

엄마가 사라진 그 자리를 가설 오븐에 식빵을 구워 내는 ‘차줌마’(차승원+아줌마)가, 세 쌍둥이를 육아하는 송일국 아빠가 차지했다. 밥벌이에 바빠 20대 딸과 원만하지 못한 50대 아빠를 그려 낸 ‘아빠를 부탁해’는 또 어떤가. 체력이 필요한 리얼리티TV 탓 같기도 한데 전업주부로, 경단녀로, 슈퍼우먼으로 묵묵히 사는 엄마들이 괜히 서럽겠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2-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