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혐핫’ 공감/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혐핫’ 공감/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8-02-09 23:10
수정 2018-02-09 2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점심 때 회사 동료가 순댓국을 제안한다. 잘 아는 집이 있는데 줄 설 각오를 해야 한다는 내 말에 동료가 ‘혐(嫌)핫’을 거론하며 평범한 순댓국집을 추천한다. 요즘 새 소비 현상으로 떠오른 혐핫은 널리 알려진 ‘핫’(hot)한 곳을 기피하는 소비 심리다. 괜찮다 싶으면 사람들이 몰려들어 만족감이 떨어진다는 이유다. 업소 중에도 핫해지기 싫으니 인테리어나 음식 사진을 찍지 말라고 하는 곳까지 생겨났다.

타인의 경험은 소비의 중요한 바로미터다. 대기 줄이 긴 식당 음식은 맛있어 보이고, 베스트셀러 순위에 오른 책은 재미있을 것 같다. 한 해 수십만 명이 방문하는 여행 명소엔 꼭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이 버킷리스트에 담는 것들도 대개 남들이 열광하는 경험의 집합체다.

한데 남의 경험만 좇다 보면 결국 모방의 일상만 반복하기 쉽다. 남이 아무리 좋아해도 내가 만족하지 못하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혐핫은 전통적인 소비 기준을 거부한다. 소비혁명인 셈이다. 트렌드를 추종하고, 거기 끼지 못하면 초조해하는 현대인들에게 혐핫이 자기 찾기의 모멘텀이 되었으면 한다.
2018-02-1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