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친구가 회갑을 맞아 잔칫상을 받은 사진을 단톡방에 올려 한바탕 웃었다. 음식을 풍성하게 차려 놓고 자녀들이 줬을 법한 오만원권 다발을 상 앞에 깔아 놓은 모습이 낯설면서도 해학적인 느낌이 들어서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시골 마을에선 회갑연이 자주 열렸다. 회갑을 맞으면 없는 살림에도 온 동네 사람들을 모두 초청해 시끌벅적하게 잔치를 벌였다. 산해진미를 올려 잔칫상을 차리고 한복을 차려입은 자녀들은 격식에 맞춰 절을 올렸다. 흥을 돋우기 위해 ‘기생’을 불러 권주가를 부르게 하고, 자녀들은 가무로 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렸다. 나도 군복무 중 선친 회갑을 맞아 1박2일 특박을 받아 나왔던 기억이 난다.
과거엔 환갑만 살아도 큰 경사로 여겨서 잔치를 벌였다. 사람들은 환갑상에 놓인 밤·대추를 얻어다가 자손들에게 먹여 장수하기를 빌었다고 한다. 평균수명이 크게는 지금 장수 축하 의미는 사라진 지 오래다. 그보다는 친구의 건강과 멋진 제2의 출발을 기원한다.
임창용 논설위원
2022-10-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