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왜가리의 죽음/황성기 논설고문

[길섶에서] 왜가리의 죽음/황성기 논설고문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23-01-20 02:15
수정 2023-01-20 0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가끔씩 들르는 공원에 왜가리로 보이는 새가 나타난 게 벌써 두 달은 된 듯하다. 새 전문가가 아닌지라 왜가리라 단정할 수는 없으나 색깔과 크기, 우아한 자태 등을 보면 사진으로 봤던 왜가리를 빼박았다. 공원에 갈 때마다 볼 수 있는 건 아니었지만 어쩌다 한 번이라도 왜가리 한 마리가 공원 한가운데 제법 큰 연못의 돌더미에 내려앉아 쉬는 모습은 도시의 흔하디흔한 비둘기, 참새, 까치와는 또 다른 멋진 풍광이었다.

며칠 전 강추위가 닥쳤을 때 일이다. 연못 곳곳을 부드럽게 날아다니던 왜가리가 작은 돌더미 사이에 누워 꼼짝도 않고 있는 게 아닌가. 먼 발치에서 휴대폰 카메라 렌즈를 최대한 당겨 살폈지만 산 건지 죽은 건지 분간이 어려웠다. 한데 며칠 뒤 다시 가보니 그 모습 그대로였다. 죽은 게다. 여름 철새라는데 어쩌다 녀석은 남쪽으로 떠나지 못하고 세상을 뜨고 말았을까. 혹여 무리에 끼지 못하고 홀로 남겨져 갈 길을 잃었기 때문 아닌가. 가슴이 먹먹해진다.
2023-01-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