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덮친 아이티는 중미 최빈국

강진 덮친 아이티는 중미 최빈국

입력 2010-01-13 00:00
수정 2010-01-13 15: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일 오후(현지시각) 규모 7.0의 강진이 발생한 아이티 공화국은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연안 국가로,2009년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에 따르면 서반구 내 2번째 빈국이다.

 900여만명에 이르는 전체 인구 중 약 70%가 하루 2달러 미만의 돈으로 생활하고,문맹률이 45%에 이른다.

 유아사망률도 높은데다 15~49세 사이 인구 중 에이즈 바이러스(HIV) 감염자의 비율도 2.2%다.

 아이티는 과거 프랑스령 식민지였으나 흑인 노예혁명을 통해 독립을 쟁취,1804년 라틴아메리카 내 첫 독립국가를 탄생시켰다.

 그러나 정치적 불안과 자연재해가 잇따르면서 풍부한 자연자원으로 한때 카리브해 연안 내 가장 부유한 국가였던 아이티는 최빈국으로 전락했다.

 특히 1957년부터 30여 년간 계속된 뒤발리에 부자의 독재정치는 국가 발전을 크게 저해했다.

 이른바 ‘파파 독’으로 불린 프랑수아 뒤발리에는 1957년 의회를 해산한 뒤 1964년 종신 대통령에 올랐다.

 1971년 ‘베이비 독’인 아들 장 클로드 뒤발리에가 대통령직을 계승했고,1986년 반정부 시위로 뒤발리에가 축출되기 전까지 사회 부패와 혼란이 계속됐다.

 1990년 첫 민주선거를 통해 당선된 장 베르트랑 아리스티드 대통령이 1년 뒤 군사 쿠데타로 실각하면서 지지세력에 대한 박해가 이어지는 등 정치 불안이 심화됐다.

 아리스티드 대통령은 3년 뒤 미군 개입으로 대통령직에 복귀했으나,과거 군부세력 주도의 반정부 봉기로 2004년 또 다시 망명길에 올랐으며 이후 20개국 7천여명으로 구성된 유엔 평화유지군이 아이티에 주둔하며 치안을 담당하고 있다.

 유엔은 아이티의 재건을 돕기 위해 지난해 5월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을 아이티 특사로 임명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