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최근 10년간 발생한 대형 총기난사사건

미국에서 최근 10년간 발생한 대형 총기난사사건

입력 2012-07-21 00:00
수정 2012-07-21 0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콜로라도주(州) 덴버시 근처 오로라 지역의 한 영화관에서 20일(현지시간) 새벽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을 비롯해 지난 10년간 미국에서 발생한 대형 총기 난사 참사를 역시간 순으로 정리했다.

▲ 2012.7.20 = 콜로라도 덴버시 근처 오로라 시의 중심가 ‘센추리 16’ 극장에서 방독면을 쓴 20대 남성(용의자 제임스 홈즈)이 관객들을 향해 최루탄 또는 연막탄을 던진 뒤 무차별 총격을 가해 최소 12명이 숨지고, 50명이 다쳤다.

▲ 2011.1.8 = 애리조나주 투산에서 정치행사 도중 총기 난사로 연방판사 등 6명이 숨지고 중태에 빠진 가브리엘 기퍼즈 연방 하원의원을 포함해 13명이 부상했다. 범인 제러드 리 러프너(22)는 현장에서 체포됐다.

▲ 2009.11.5 = 텍사스주 포트후드 군사기지에서 근무하던 정신과 군의관 니달 하산 소령이 총기를 난사해 장병 12명과 민간인 1명 등 13명이 사망하고, 42명이 다쳤다.

▲ 2009.4.3 = 뉴욕주 빙엄턴의 이민자 서비스 센터에 베트남계 이민자 지벌리 윙의 무차별 난사로 13명이 숨지는 참사가 벌어졌다.

▲ 2009.3.29 =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의 중심지인 샌타클라라 카운티의 한 주택에서 일가족 6명이 총에 맞아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일가족 중 한 명이 가족을 총살했으며 자신도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2009.3.29 =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한 요양원에서 총기 난사 범죄에 노인과 환자 등 8명이 희생됐다.

▲ 2009.3.10 = 앨라배마주 제네바 카운티와 커피 카운티에서 28살의 실직남성이 여러 마을을 돌며 총을 쏴 10명을 살해했다.

▲ 2008.12.24 = 캘리포니아주 코비나에서 산타클로스 복장을 한 40대 남성이 전처의 친정집에서 열린 크리스마스 파티 도중 총격을 가해 범인을 포함해 9명이 사망했다.

▲ 2008.9.2 = 워싱턴 앨저에서 출소한 지 1달 된 정신질환자의 총에 6명이 희생되고 2명이 다쳤다.

▲ 2008.2.14 = 일리노이주 드칼브의 노던 일리노이 대학 강의실에서 한 남성이 총기를 난사해 자신을 포함해 6명이 숨지는 등 총 22명의 사상자를 냈다.

▲ 2008.2.2 = 시카고 교외의 한 옷가게에서 여성 6명이 총에 맞아 5명이 사망했다. 경찰은 범인 색출에 실패했다.

▲ 2007.12.24 = 워싱턴주 카네이션에서 한 여성과 그 남자친구가 여성의 가족 6명을 살해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 2007.12.5 =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의 쇼핑센터에서 한 청년이 쇼핑객들을 향해 총기를 난사해 가해자를 포함해 9명이 숨지고 5명이 부상했다.

▲ 2007.4.16 =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의 버지니아텍에서 조승희가 32명을 사살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최악의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했다.

▲ 2006.10.2 = 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 니켈 마인스의 학교에 침입한 트럭 운전사가 여학생 5명을 사살하고 나서 자살했다.

▲ 2005.3.13 = 위스콘신주 브룩필드에서 한 남성이 교회 예배 도중 총을 발사해 7명이 숨졌다.

▲ 2004.11.22 = 위스콘신주 버치우드에서 한 사냥꾼이 언쟁을 벌이던 다른 사냥꾼 6명을 총기로 숨지게 했다.

▲ 2003.8.27 = 시카고에서 해고된 한 남성이 발사한 총기에 농장 동료직원 6명을 살해했다.

▲ 2002.10 = 존 앨런 무하마드는 워싱턴과 그 주변에서 3주간에 걸쳐 무차별 저격으로 10명을 숨지게 했으며 2004년 사형판결을 받고 결국 사형이 집행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