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의 전쟁’ 첨병 나선 미군 특수부대 전력

‘오바마의 전쟁’ 첨병 나선 미군 특수부대 전력

입력 2015-02-12 16:35
수정 2015-02-12 16: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합특수전사령부 산하 6만6천명 규모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격퇴전의 첨병으로 특수부대를 동원한 제한적 지상전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밝힘에 따라 미국의 특수전 전력이 관심을 끈다.

미국은 현재 특수부대들을 통합특수전사령부(SOCOM) 산하에 배속시켜 총괄 운용하고 있다. 지난 1987년 의회의 발의로 발족한 SOCOM은 미 플로리다 주 탬파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병력 규모는 6만6천여 명이다.

SOCOM은 2001년 9. 11 사태 이후 대테러전의 선봉장으로 주목을 받아왔으며, 지난해 9월 현재 전 세계 133개국에 파견돼 대테러전에서부터 군사 훈련 자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무를 수행 중이다. 올해 예산 규모는 지난해보다 4% 줄어든 99억 1천300만 달러다.

SOCOM은 육. 해.공군 및 해병대 특수전사령부와 대테러전 임무 전담 부대인 합동특수전사령부(JSOC) 등으로 구성되며, 관련 부대들의 조직, 훈련 및 장비 확보 등을 주임무로 한다. 실제 작전은 태평양사령부 등 7개의 통합전투사령부에 배속된 관련 사령부의 몫이다.

특수부대의 주임무는 목표타격(또는 직접타격, DA), 대테러전(CT), 외국내부방어(FID), 비정규전(UW), 특수정찰(SR), 민사·심리전(CA/Psyop), 정보전(IO), 대량살상무기 확산억제전(CP), 동맹군지원(CS) 등이다.

특수부대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은 육군 특전사다. 2만9천여 명의 병력을 보유한 육군 특전사는 ‘그린베레’로 유명한 특전단(1, 3, 5, 7, 10 특전단 등 5개의 현역 부대와 예비부대 격인 제19, 20 특전단 등으로 구성됨)과 경보병 타격대인 제75 레인저 연대가 중핵을 이룬다. 또 헬기를 이용한 특수부대의 침투를 담당하는 제160 특수전항공연대, 95 민사여단, 존 F. 케네디 특수전센터학교 등도 함께 배속돼 있다.

테러조직 알 카에다 창설자인 오사마 빈 라덴을 제거하고, 영화 ‘아메리칸 스나이퍼’로 유명한 네이비실(Navy SEAL)의 산실인 해군 특전사는 실 요원과 이들의 수송을 지원하는 주정 전대와 잠수정(SDV) 전대까지 합쳐 6천500여 명의 병력으로 구성된다. 실제 전투의 주역인 실 팀 규모는 2천여 명으로 태평양을 담당하는 제1전단과 대서양을 전담하는 제2전단으로 분산돼 있다.

공군 특전사는 육군과 해군 및 해병대 관련 요원들의 공중 침투와 퇴출 및 화력 지원 등이 주임무다. 현재 병력은 1만 8천여 명으로 제1 특수전비행단, 제27 특수전비행단 등으로 구성된다. 항공기 지원 외에도 공군 특전사 산하에는 적지에 격추된 조종사 구출임무를 전담하는 구조대(Pararescue)와 항공 침투지역을 사전에 확보하는 전술공정통제사(CCT) 등이 소속돼 있다.

해병대 특전사는 2006년 2월 발족한 SOCOM 구성군의 막내로서 산하에 3개 특전대대와 특전학교 등 2천600여 명의 병력으로 구성되며, 최근에는 육군 특전단과 함께 동맹군에 대한 군사 훈련 자문 임무를 주로 수행한다.

이밖에 JSOC는 인질 구출 같은 대테러전이나 주요 인사 저격 등 고도의 기밀성과 위험성이 뒤따르는 특수임무를 전담하는 ‘특수부대 중의 특수부대’로 빈 라덴 제거의 주역인 해군 ‘데브그루’ (DevGru, 실 6팀)과 영화 소재로도 잘 알려진 육군의 ‘델타포스,’ 감청 등 통신정보 수집을 주로 하는 정보지원대(ISA) 등으로 구성된다.

JSOC는 특히 예멘과 파키스탄 등에서 알카에다와 IS를 상대로 한 드론(무인기) 공습도 미 중앙정보국(CIA)과 함께 시행 중이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강동엄마’ 박춘선 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지난 21일 미래한강본부 담당자들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 한강변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지난 산책로 조성 이후 변모된 현장을 살피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가래여울 한강변은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주민들이 산책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해 나가는 중이다. 이날 박 의원은 현장점검에서 새로 교체된 막구조 파고라와 산책로 주변 수목 정비 및 6월 1차 풀베기와 가지치기 작업 상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7월 중 실시될 2차 풀베기 일정까지 꼼꼼히 챙겨봤다. 박 의원은 관계자들과 함께 장마로 훼손된 잔디와 생태교란식물 제거, 편의시설 보강 등 세부적인 관리 개선책을 논의하며 가래여울 한강변을 “방치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쉼터로 만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 행정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7월부터 9월까지는 간이 피크닉장을 조성하여 ▲평의자 4~5개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토사 유출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