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건강한 반도체 생태계가 조성되려면 반도체 보조금을 한국의 삼성전자 같은 외국기업에도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세계 반도체업계에서 나왔다.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버트런드 로이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은 이날 “미국 내 건강한 반도체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 대만의 TSMC나 한국의 삼성전자와 같은 다른 외국기업들도 (미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SEMI는 전 세계 전자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협회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을 포함해 2400여 개 반도체 기업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반도체 산업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반도체 산업 연합뉴스
로이 회장은 “반도체 산업은 일본, 유럽, 북미, 대만, 중국 등의 여러 회사에 의존하는 고도로 복잡한 생태계”라며 “자국에서 반도체 산업이 번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면 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참여 기업이 이런 지원금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 반도체 제조업체뿐 아니라 반도체 공급망에서 꼭 필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 및 재료 공급 업체에도 해당 보조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미국 의회에는 520억 달러(약 61조 51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제조 인센티브 법안’(CHIPS for America Act)이 계류 중이다.
해당 내용의 법안이 아직 의회를 통과하지 않았지만, 반도체 업계에서는 지원 자격을 놓고 설전이 오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