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진주만, 9·11 겪어” 젤렌스키 연설에 日 발끈

“매일 진주만, 9·11 겪어” 젤렌스키 연설에 日 발끈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2-03-17 22:20
수정 2022-03-18 04: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화상 연설서 언급하며 호소
日 “우크라 지지 철회” 불쾌감

이미지 확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AFP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AFP 연합뉴스
“1941년 12월 7일, 당신을 공격하는 항공기로 하늘이 새까맣게 물들었던 끔찍한 아침 진주만을 기억하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상·하원 의원들을 대상으로 15분가량 진행한 화상 연설에 대해 일본이 불편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와 비행금지구역 설정 등을 요청했다. 그는 “당신들의 위대한 역사에는 우크라이나인을, 우리를 지금 이해할 수 있는 페이지가 있다”며 러시아의 침공을 미국이 공격받은 진주만, 9·11 테러에 비유했다. 이어 “우리는 그때와 같은 일을 매일 겪고 있다”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해 달라는 요구가 지나친가”라고 반문했다.

일본은 태평양전쟁의 가해국이라는 숨기고 싶은 과거를 들춰낸 젤렌스키 대통령의 연설에 불쾌감을 나타냈다. 한 일본 네티즌은 “더이상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진주만 공습은 민간인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의회에 앞서 유럽 의회, 영국 의회, 캐나다 의회 등에서 화상으로 연설하며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일본 의회도 화상 연설을 계획하고 있지만 실행 여부는 미지수다. 17일 마이니치신문은 “일부 의원들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러시아를 강력하게 비난할 가능성이 큰데 그런 일방적인 주장을 하도록 국회가 장소를 제공해야 하는지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남궁역 서울시의원, ‘HCN 버스킹인서울’ 출격…음악으로 시민과 소통해

서울시의회 남궁역 의원(국민의힘, 동대문3)이 HCN방송의 음악 토크 콘서트 ‘버스킹인서울’에 출연해 시민들과 뜻깊은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지난 24일 서울식물원에서 진행된 이번 녹화는 김일중 아나운서의 진행으로, 환경수자원위원회 소속 박춘선 부위원장, 이용균 의원과 함께 참석해 음악과 함께 시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친환경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버스킹인서울’은 밴드 블루진과 싱어송라이터 오아의 공연, 시민 참여 퀴즈와 노래 등으로 화합의 장이 되었으며, 환경수자원위원회의 친환경 정책 의지와 녹색 도시 서울을 향한 협력의 중요성을 시민과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남궁 의원은 “서울식물원은 식물원과 공원이 결합된 도심형 복합문화공간이자, 서울의 녹색 미래를 상징하는 장소”라며 “환경수자원위원회는 서울식물원이 세계적인 식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남궁 의원은 평소 가까운 공원에서 맨발 걷기를 실천하는 경험을 나누며, 시민들이 안전하게 맨발 보행을 즐길 수 있도록 발의한 ‘맨발 걷기 활성화 조례’와 관련한 입법 취지를 설명했다. 현장 질의응답 코너에서는 남궁 의원이 발의한 ‘서울
thumbnail - 남궁역 서울시의원, ‘HCN 버스킹인서울’ 출격…음악으로 시민과 소통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연설이 기술적 문제(화상 연결 등)가 있다고 알고 있지만 꼭 국회에서 긍정적으로 대응했으면 좋겠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2022-03-1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