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했던 85명 재단에 거액 내놔… ‘노벨상’ 그라민도 구명 요청 뒤 기부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이 국무장관 재직 시절 개인적으로 만났던 민간 부문의 인사 절반 이상이 클린턴재단에 거액을 기부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AP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금액이어서 클린턴이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윤리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AP는 클린턴이 국무장관 재직 시절(2009년 1월~2013년 1월) 클린턴재단에 고액을 기부한 154명 중 85명을 개인적으로 만나거나 전화통화한 사실을 국무부 일지를 분석해 확인했다. 이들 85명이 클린턴재단에 기부한 금액은 1억 5600만 달러(약 1743억원)에 달하며 이 중 최소 40명이 10만 달러 이상 냈고 100만 달러 이상 기부한 사람도 20명에 달한다고 통신은 소개했다. 클린턴이 직접 만났거나 전화통화한 기부자 중 연방정부 관계자나 외국 정부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사람은 없었다. 클린턴재단은 1997년 설립됐다.
클린턴과 개인적으로 접촉한 기부자 중에는 빈민을 위한 소액 무담보 대출운동을 이끌어 2006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방글라데시의 무함마드 유누스 그라민은행장도 포함돼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로부터 퇴진 압력을 받던 그는 클린턴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며 이 과정에서 3차례 클린턴과 만났고 전화통화를 했다.
이후 그라민은행 미국지부인 그라민 아메리카는 클린턴재단에 10만~25만 달러를 기부했다. 또 그라민 리서치는 2만 5000~5만 달러를 기부했다. 하지만 방글라데시 정부가 그를 횡령 및 탈세 혐의로 해임해 구명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
클린턴은 또 2011년 6월 화장품회사인 에스티로더의 수석부사장이자 맥에이즈펀드의 전무이사인 낸시 마혼과 만났다. 이 만남은 국무부와 맥에이즈펀드의 에이즈 예방과 교육을 위한 기금 마련 파트너십 발표를 앞두고 이뤄졌다. 이후 맥에이즈펀드는 500만~1000만 달러를 클린턴재단에 기부했다.
이에 대해 클린턴 캠프의 브라이언 팰런 대변인은 “클린턴 장관 재임 중 전반부만을 대상으로 이뤄진 분석이며, 외국 대표와 정부 관계자와의 만남은 제외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6-08-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