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 연합뉴스
힐러리 클린턴(왼쪽)·도널드 트럼프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이는 정치 보복을 하지 않음으로써 사회 통합에 적극 나서겠다는 신호탄을 쏜 것으로 풀이돼 트럼프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이로써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 최대 ‘정적’이었던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와 툴시 가바드(하와이) 민주당 하원의원을 각각 국무장관과 유엔주재 미국대사 자리에 발탁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데 이은 적극적 통합 행보를 본격화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뉴욕타임스 빌딩에서 이 회사 기자들과 가진 회동에서 클린턴을 기소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테이블에서 완전히 치워진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내가 매우 강력히 생각하는 게 아니다”라며 “그녀를 기소하는 것은 미국에 매우, 매우 분열적이 될 것”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나는 클린턴 부부를 다치게 하고 싶지 않다”며 “그녀는 많은 것을 겪었고, 다른 많은 방식으로 상당히 고통을 겪었다”고 덧붙였다.
또 대선 기간 ‘클린턴을 감옥에’라고 외쳤던 지지자들이 실망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는 “그들이 실망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앞서 MSNBC 뉴스쇼 ‘모닝조’의 공동 진행자인 미카 브레진스키도 이날 “트럼프 당선인은 클린턴이 (이들 스캔들과 관련해) 겪을 만큼 충분히 겪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내부 소식통에게서 들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대선 기간 ‘이메일 스캔들’ 등을 거론하며 “클린턴을 감옥에”라는 구호를 연발했다.
다만 공화당 일각에서는 여전히 클린턴의 여러 스캔들에 대한 조사에 당이 앞장서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이슨 샤페즈(공화·유타) 하원 정부감독·개혁위원회 위원장은 언론에 국무장관 4년간 클린턴의 불법적 행적에 대해 철저한 재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수차례 피력한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