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콴유, ‘마오서 시진핑까지’ 중국 최고지도자 모두 만난 지도자

리콴유, ‘마오서 시진핑까지’ 중국 최고지도자 모두 만난 지도자

입력 2015-03-23 10:40
수정 2018-04-30 17: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덩샤오핑 ‘개혁ㆍ개방’에 영향…시진핑 “존경하는 어른”

23일 91세를 일기로 타계한 ‘싱가포르의 국부’ 리콴유(李光耀) 전 총리는 중국과 인연이 깊다.

리 전 총리는 화교 이민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 등 중국 언론에 따르면 리 전 총리 조부의 원적지는 중국 광둥(廣東)성이었다. 중국차를 즐겨 마시고 4자 성어 외우기를 좋아했다. 중국 문화에도 해박한 지식을 자랑했다는 것이다. 어렸을 때 영어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 중국어를 더 열심히 했다고 중국 언론들은 전했다.

생전에 중국을 33차례나 방문했다. 마오쩌둥(毛澤東)부터 덩샤오핑(鄧小平), 장쩌민(江澤民), 후진타오(胡錦濤), 시진핑(習近平) 현 국가주석에 이르기까지 제1~5세대 중국 최고지도자를 모두 만난 세계에서 매우 드문 외국 지도자다.

1976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 마오쩌둥과 회담했으며 특히 덩샤오핑이 개혁개방 정책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싱가포르의 고속발전 모델이 중국 개혁개방의 총설계사 덩샤오핑에게 깊은 감명을 준 것이다.

실제로 덩샤오핑은 1992년 ‘남순강화’(南巡講話) 도중 “우리는 싱가포르의 경험을 거울로 삼아 배워야 한다”면서 “싱가포르의 모델은 중국 개혁개방이 참고해야 할 타산지석”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시진핑 주석이 직접 존경심을 표현했던 지도자이다. 리 전 총리는 시 주석이 국가부주석 신분이던 2011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난 적이 있다.

펑파이(澎湃)신문에 따르면 시 주석은 과거 “리콴유 선생은 우리가 존경하는 어른”이라면서 “중국과 싱가포르 관계의 발전을 부단히 추진해 온 그분에게 마음 한가득 존경의 정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우리는 그가 양국관계에 대한 중요한 공헌을 영원히 잊을 수 없을 것”이라고도 했다.

리 전 총리도 시 주석에 대해 “그는 시야가 넓고 문제를 대할 때 핵심을 깊이 찌르지만 재능과 식견을 전혀 자랑하지 않는다”면서 그가 남에게 주는 인상은 매우 장중하다고 높이 평가했다.

리 전 총리는 생전 중국과 싱가포르의 관계 발전을 이끌어 양국관계의 창시자라는 평가도 받았으며 2005년 상하이(上海) 푸단(復旦)대에서 명예박사 학위도 받았다.

중국 언론들은 중국과 깊은 인연을 맺었던 리 전 총리의 타계 소식과 함께 생애 등을 비중 있게 전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