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델리서 인도-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
중국 자본이 점령한 아프리카 시장에 인도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무역 규모에서 중국에 한참 뒤지지만 지정학적 조건은 중국보다 우수하다.
IAFS 첫 회의가 열린 2008년만 해도 14개국만 참가했지만 올해는 54개국 정상급 수반이 인도를 찾았다. 54개국이나 되는 아프리카 정상이 대륙 밖에서 모인 것은 처음이다. 모디 총리에 대한 아프리카의 신뢰를 보여 주는 지점이다. 인도 유력 경제지 이코노믹타임스는 이번 행사를 모디 총리의 ‘메가쇼’라고 보도했다.
인도의 대아프리카 무역액은 지난해 기준 720억 달러(약 82조원)로 2008년에 비해 2배가량 증가했다. 아프리카의 풍부한 천연자원이 인도의 주요 수입 품목이다. 원유, 석탄, 보석, 금 등 천연자원이 대부분이다. 인도는 아프리카에 자동차와 석유 제품 등을 수출한다.
중국은 아프리카의 최대 교역국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10년간 수십억 달러를 아프리카에 쏟아부었다. 지난해 무역액은 2000억 달러(약 229조원)로 인도의 3배에 달한다. 항구, 철도, 축구장, 고속도로, 댐 등 아프리카 곳곳의 기반시설에 중국의 돈이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다. 뉴델리 국방연구소의 아프리카 전문가 루치타 베리는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인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하다”고 말했다. 중국도 12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중국·아프리카협력포럼(CACF)을 개최한다.
인도는 ‘차이나 머니’와 싸우기 위해 지정학적 전략을 내세웠다. 인도와 마찬가지로 영국의 식민지였던 동아프리카 지역은 이미 수많은 인도인이 이주해 살고 있을 정도로 역사적으로도 가깝다. 마하트마 간디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도 이주자를 대변하는 변호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로 골머리를 썩는 아프리카 국가들은 인도에 군사 협조를 요청했다. 카메룬, 나이지리아, 니제르, 차드, 베냉 등이 이러한 문제를 논의한다.
교육과 의료 분야에서 인도의 힘은 막강하다. 최근 5년간 아프리카인 2만 5000명이 인도에서 학위를 받았다. 인도 제약사들의 저렴한 복제약은 아프리카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메이드 인 인디아’ 제품이 제약 시장의 80%를 차지할 정도다. 영국 잡지 퍼스트포스트는 “아프리카의 요구와 인도의 경험, 능력이 서로 맞아떨어진다”고 분석했다.
경제협력 분야에서 인도는 단순히 돈을 제공하기보다 기술자를 보내 주는 등 실질적 도움에 힘쓰고 있다. 모잠비크에서는 태양광발전을, 에티오피아에서는 설탕 가공 공장을 지어 수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파키스탄 영자지 데일리타임스는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인도가 더이상 중국의 그늘에 가려 있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5-10-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