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겨냥 학부모 표심 끌기 비상
자녀의 학교 숙제가 부모 부담으로 전가되는 건 한국이나 영국이나 마찬가지인 듯하다. 다음달 7일 총선을 앞두고 영국 보수당이 학교에서 학부모 대상 수학 과외를 실시하는 공약 채택을 검토 중이라고 영국 텔레그래프가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텔레그래프는 “과거에 비해 수학 교과서 내용이 너무 많이 바뀌어 자녀의 수학 숙제를 돕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학부모들에게 재교육 기회를 줘야 한다”는 보수당 핵심 당직자의 말을 인용했지만, 실제 보수당의 의도는 노동당으로 쏠린 학부모 표심을 되돌리는 데 있다고 평가했다. 2010년 집권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추진해 온 ‘자유학교’(프리스쿨) 모델이 영국의 공교육을 황폐화시킨다는 비난에 직면해있기 때문이다.
자유학교란 학부모, 종교계, 교사 등이 자유롭게 학교를 설립하면 정부 예산으로 재정을 지원하는 학교를 말한다. 보수당 집권 기간(2010~2014년)에 자유학교가 400여곳 추가로 설립됐지만, 공립학교로 갈 예산만 축낼 뿐 교사나 교육의 질은 개선되지 않았다는 혹평이 제기됐다. 보수당이 총선 공약으로 이미 발표한 ‘자유학교 500개 추가 설립 공약’이 노동당 공약보다 인기를 끌지 못하는 이유다.
노동당의 교육 공약은 ‘학부모 주도 교육’과 ‘연 6000파운드(약 970만원)의 등록금 상한 설정’으로, 학부모에게 실질적 이득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보수당이 검토 중인 ‘학부모 수학 재교육 공약’은 학부모의 고민을 직접 타파해 준다는 점에서 노동당의 정책과 비슷한 면을 지닌 셈이다.
한편 영국 총선의 주요 쟁점이 민생·생활 공약에 맞춰지면서 양대 정당인 보수당과 노동당 외 군소 정당들도 교육 공약 개발에 공을 들이는 분위기다. 군소 정당 교육 공약 중에는 무상급식(자유민주당), 주당 30시간의 만 3~4세 보육(스코틀랜드 국민당), 국가관 교육 강화(영국 독립당), 성과급 위주인 교사의 임금체계 개편(녹색당) 등 한국의 주요 교육 이슈와 맞닿은 대목이 많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04-0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