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전 승무원 조난신호 전혀 없어…조종사 실수나 기체 결함은 배제” 림아비아항공 부총국장 밝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이집트 시나이반도 상공에서 추락한 러시아 여객기는 외부 충격으로 공중에서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항공사가 2일 밝혔다.AP, AFP통신에 따르면 코갈림아비아 항공사(메트로제트)의 알렉산드르 스미르노프 부총국장은 모스크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유일하게 합리적으로 설명 가능한 이유는 기계적·물리적으로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라고 말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통령 공보비서는 “테러리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조사가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스미르노프 부총국장은 조종사 실수나 기체 결함은 배제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승무원이 조난 신호를 보내지 않았으며, 조종사도 이집트 교통통제관에 연락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추락 직전 고도는 1.5㎞, 속도는 300㎞/h까지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전날 빅토르 소로첸코 러시아 정부간항공위원회 위원장은 러시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여객기가 공중에서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소로첸코 위원장은 “사고기가 공중에서 파괴되면서 잔해가 약 20㎢의 광범위한 지역에 흩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러시아 코갈림아비아 항공 소속 에어버스 A321은 지난달 31일 오전 이집트 시나이반도 남부 휴양지 샤름엘셰이크를 출발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향하던 도중 추락해 탑승자 224명 전원이 사망했다. 사고 직후 수니파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의 이집트 지부는 자신들이 여객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5-11-0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