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당 내 오사카 계열 의원 ‘반란’ 시도…유신당 해체 선언 파문일본 정계 제3세력 재편에 미칠 영향 주목
일본군 위안부가 필요했다는 망언 등으로 물의를 빚은 전력이 있는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일본 오사카 시장이 정계 은퇴 선언을 번복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25일 도쿄신문 등에 따르면 지난 5월 은퇴 구상을 밝힌 하시모토 시장은 전날 민영방송 TV 도쿄의 한 프로그램에서 오사카가 과거처럼 세금을 헛되게 쓰고, 마음대로 퇴직 관료를 산하 기관에 낙하산 인사를 하면 정치적으로 한번 죽은 인간이 다시 살아 돌아오는 것이냐는 얘기가 나올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는 당초 발언대로 자신이 올해 12월 시장 임기를 마치고 정계를 은퇴하더라도 복귀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시모토 시장은 특히 자신이 주도해 조만간 설립할 ‘오사카(おおさか) 유신회’의 법률 고문을 맡아달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그런 형태로 변호사의 모습을 모색하고 도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날 발언은 정치를 계속할 가능성을 하시모토 시장 스스로 인정한 셈이다.
그는 그간 ‘오사카(おおさか) 유신회’ 창당이 자신의 ‘마지막 일’이라며 실제로 정계를 은퇴할지 의문이라는 관측을 부인해 왔다.
이런 가운데 ‘오사카(おおさか) 유신회’에 합류 의사를 밝혔다 제명당한 유신당의 오사카 계열 의원들은 제명 무효와 유신당 해체 방침을 무단으로 선언해 파문을 키웠다.
이노우에 히데타카(井上英孝) 중의원 등 국회의원 20명과 지방의원 등 약 230명은 24일 오사카에서 독자적으로 유신당 ‘전당 대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결의하고 새로운 집행부까지 선출했다.
마쓰노 요리히사(松野賴久) 유신당 대표는 이것이 당 규약을 위반한 것이라서 무효라며 반발했다.
요미우리(讀賣)신문에 따르면 총무성은 오사카 계열 의원이 제출하는 당 해산 신청서를 받아들이지 않을 전망이며 이들의 반란은 실패로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
마쓰노 대표는 이들 의원을 상대로 한 법적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집권 자민당이나 제1야당인 민주당과의 차별성을 부각하며 정치 세력 확대를 추진해 온 이른바 ‘제3극’(極) 정당의 재편이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오사카 계열 의원의 구심점이자 젊은 극우로 평가받는 하시모토 시장의 정계 잔류 또는 복귀 가능성이 주목된다.
사립 명문인 일본 와세다(早稻田)대 정경학부를 출신인 하시모토 시장은 변호사로 활동하며 버라이어티쇼 등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탤런트형 변호사’로 인지도를 쌓고 정계에 입문했다.
그는 만 38세인 2008년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광역지자체인 오사카부(大阪府) 지사에 당선됐으며 2010년에는 오사카시를 폐지하고 오사카 부 산하의 5개 특별구 등으로 재편하는 오사카도(大阪都) 구상을 내걸고 지역 정당인 ‘오사카(大阪) 유신회’를 만들었다.
하시모토 시장은 오사카도 구상을 실현하려 올해 5월 실시한 주민 투표에서 찬성보다 반대가 많이 나오자 시장 임기를 끝으로 정계를 은퇴하기로 했다.
그는 2013년 5월 “(전쟁 당시) 그만큼 총탄이 오가는 중에 정신적으로 흥분된 강자 집단에게 휴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안부 제도가 필요하다는 건 누구도 알 수 있다”고 발언해 일본은 물론 국제사회의 반발을 사는 등 ‘젊은 극우’로 평가받은 인물이다.
하시모토 시장은 최근 ‘전쟁터의 성 문제는 옛 일본군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 문제는 2차 대전 중 미군, 영국군, 프랑스군, 독일군, 소련군이나 한국전과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에도 있었다’는 의견서를 미국 샌프란시스코 의회에 보내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