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동아시아 평화 번영에 무거운 책임”
일본 언론은 3년 반 만에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의장국 순서에 따른 한국 정부 공식표기)를 3국의 협력 토대로 발전시키라고 주문했다.아사히(朝日)신문은 2일 사설에서 “일본, 중국, 한국의 정치 톱니바퀴가 맞물리지 않는 불모의 현실로부터 지금이야말로 벗어나지 않으면 안 된다”며 3국 정상이 회담 정례화 방침을 재확인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3국 지도자가 역사나 ‘영토 문제’를 부추겨 내셔널리즘을 국내용으로 이용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며 “역사를 직시하는 자세를 흔들림없이 이어가고 응어리 없이 일본·중국·한국이 협력 가능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아사히신문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자유무역협정(FTA), 에너지, 재해, 환경, 테러 대책 등을 협력 분야로 꼽았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3국이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에 무거운 책임을 가지고 있다”며 “역사나 영토를 둘러싼 대립을 넘어 대화를 반복하고 그 역할을 이행해야 한다”고 사설을 썼다.
이 신문은 공동선언문에 반영된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지향한다’는 원칙을 존중하고 미래 지향적으로 건설적인 관계를 건설하라고 3국에 촉구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이번 회담으로 “즉시 관계가 회복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래도 중국·한국과 일본 사이의 틈이 다소 메워진 것이 아니겠냐”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내년에 일본이 의장국을 맡게 될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가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게 될 수도 있다며 기대감을 표명했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이번 회담이 “관계 정상화를 위한 일보”라고 규정하고 “각국은 공통의 이익으로부터 시선을 돌리는 내부 지향적인 태도로 정체를 부른 것을 반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2013년 기준 3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의 20.6%를 점한다며 FTA를 비롯한 3국의 협력이 낳는 효과를 강조했고 안보 분야에서는 북핵 문제 등에 대한 연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산케이(産經)신문은 “진정한 미래 지향은 여전히 멀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한국·중국 정상이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역사 인식 문제를 고집했으며 남중국해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