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한국서 30시간 뭘 얻었나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번 한국 방문을 통해 주변국들과 관계 개선 의지를 과시하고 갈등은 대화를 통해 해결하자는 공감대를 얻어냈다. 역사 문제를 둘러싼 한·중과 동시에 대치하던 대립 구도 및 고립에서 일단 한숨 돌린 셈이다. 또 한국, 중국과 각각의 개별적인 대화 통로를 복원하고 한·중과의 교류 활성화를 제도화한 것도 성과라고 할 수 있다.아베 총리는 2일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가진 첫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조속한 해결을 위한 교섭 가속화에 합의함으로써 이 문제에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됐다. 완고한 역사 수정주의자라는 인상에서 벗어나 대화와 관계 개선을 강조하는 모습을 부각시킨 계기가 됐다. 아베 총리가 이날 정상회담 직후 “내년 일본에서 정상회담을 이어나가고 싶다”며 일본은 대화와 관계 개선을 원한다는 메시지를 빠뜨리지 않은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특히 한·미·일 안보 동맹의 균열을 걱정하며 한국과 일본에 대해 각각 관계 개선을 주문해 온 미국에도 체면치레할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한 셈이기도 했다.
미국은 최근 중국을 염두에 둔 ‘아시아재균형 정책’ 등을 추진하면서 동북아 안보협력의 고리인 한·일 간의 불화를 심각하게 여겨 왔고 역사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외교전에 대해 고심해 왔다. 일본은 이런 문제를 어느 정도 불식시킬 수 있게 됐다.
아베 총리는 일본 국내를 향한 메시지도 잊지 않았다. 한·일 정상회담 직후 그는 “다양한 현안들에 대해 일본이 주장해야 할 점에 대해 말했다”면서 “한국 측의 조기 대응을 촉구했다”고 강조했다. 한국인 징용 피해자들이 일본 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 산케이신문 전 서울지국장 재판 문제 등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역사 인식에 대한 한·중과의 온도 차는 여전히 존재했지만 이를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미래지향을 전면에 내세워 협력의 틀을 강화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다.
아베 총리가 한국에 머물렀던 것은 30시간 남짓이지만 최근의 어느 외국 방문 때보다도 외교적으로나 국내적으로 소득이 적지 않다는 게 일본 언론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아베 총리는 삐걱거리던 한국 및 중국과의 관계를 어느 정도 다독거리면서 내치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11-0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