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진 “윤제균, 지금 세대에 큰힘 되는 영화 만들어주길”

남진 “윤제균, 지금 세대에 큰힘 되는 영화 만들어주길”

입력 2015-02-08 11:57
수정 2015-02-08 1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시장’ 윤제균 만나 고마움 전해…젊은 날 영화 수십편 출연

“’국제시장’처럼 국민이 함께하고 애환을 달랠 수 있고 또 희망을 가질 수 있고 요즘 젊은 세대에게 교훈이 되는, 지금 살아가는 세대에게 큰 힘이 되는 멋진 국민 영화를 만들어주길 기대합니다.”

1960~70년대 전설인 가수 남진(70)이 1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국제시장’의 윤제균(46) 감독과 만난 자리에서 이렇게 당부하며 응원했다.

지난 5일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음식점에서 윤 감독을 만난 남진은 ‘국제시장’에서 자신을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스크린에 그려준 데 대해 “영화보고 군대 생활, 선배 생각 등 옛날 생각을 많이 했다. 그런 자취를 담아냈으니 윤 감독 대단한 친구”라며 고마움을 표시했다.

윤 감독도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인간적이시다”며 “평생 스타로 살아오셨으니까 저하고 대회가 잘 될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소탈하시고 인간적이시다”고 화답했다.

전남 목포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남진은 시대를 풍미한 가수로 전설의 반열에 올랐지만 사실 영화배우를 꿈꿨다. ‘국제시장’에선 동방신기의 유노윤호가 연기한 남진이 베트남전 참전 장면에 짧게 등장했지만 그는 젊은 날 가수뿐 아니라 스크린에서 크게 활약했다.

’국제시장’을 계기로 오랜만에 영화를 봤다는 그는 “난 배우의 대사를 더빙하던 시대에 영화를 찍었다”며 “그렇게 촬영하다가 우리 영화가 기술적인 면에서 이렇게 발전한 지 몰랐다”고 감탄했다.

서울로 올라와 경복중학교를 다닌 그는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로 진학했다.

그러나 학창 시절 즐겨 들은 엘비스 프레슬리, 냇킹 콜, 폴 앵카 등 팝스타들의 음악이 가수의 길로 인도해 1964년 ‘서울 플레이보이’로 데뷔했다.

1965년 트로트곡 ‘울려고 내가 왔나’로 이름을 알린 그는 잘생긴 외모 덕에 영화에도 캐스팅돼 주연으로 출연한 작품만 수십 편이다.

자신이 히트시킨 노래 ‘가슴 아프게’와 동명 영화인 1967년 ‘가슴 아프게’를 시작으로 영화 ‘그리움은 가슴마다’ 등을 흥행시켰다. 1969년 베트남전 참전 후 1971년 서울시민회관(현 세종문화회관)에서 성공적인 컴백 공연을 하고도 ‘어머님 전상서’, ‘아내여 미안하다’, ‘세노야 세노야’, ‘산녀’, ‘가수왕’, ‘숙녀 초년생’ 등 1970년대 다량의 작품에 출연했다.

당대 여배우 문희, 윤정희 등과도 호흡을 맞췄고 시대의 라이벌인 가수 나훈아와 함께 출연한 작품도 있다.

윤 감독이 “힘들고 어려운 시절 국민에게 즐거움과 행복을 준 세대인 남진-나훈아 선생님의 라이벌 시대를 언젠가 영화로 만들어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고 말하자 남진은 그렇게 된다면 “내면적인 얘기가 다뤄졌으면 좋겠다”고 자신의 세밀한 이야기도 들려줬다.

남진은 “어머니는 서른 살 먹은 아들 따귀도 때리시던 분”이라며 “돌아가신 지 20년이 넘었는데 어머니 제삿날 빠지지 않고 하는 기도가 있다. ‘새끼 키워보니 어머니 맘 아프게 한 거 압니다. 미안합니다’라고 기도한다”고 말했다.

”제가 1남 3녀를 길렀어요. 큰 손주가 올해 5살이 됐습니다. 상을 많이 받아도 칭찬 한번 안 하시던 어머니가 딸 셋에 이어 아들을 낳자 ‘너도 이제 성공했다’고 말씀하시더군요. 하하.”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