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69>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69>

입력 2013-07-04 00:00
수정 2013-07-0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두령을 포박하지 못했다면, 지금 당장 암자로 가서 그놈부터 옭아야 합니다. 민첩하기가 쏜 화살과 같거든요.”

“정말이냐?”

“뉘 앞이라고 거짓 발명하겠습니까.”

“그놈 기특하네.”

텃밭에서 괭이 든 놈과 대거리하던 행중이 그때서야 아뿔싸, 하였다. 억죽박죽 두서없이 몰려다니는 경황 중에 암자의 땡추란 놈을 미처 포박하지 못한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두 번 다시 위인과 대거리를 나누기도 전에 행중 동무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우르르 앞다투어 암자 쪽으로 날뛰었다. 두령이란 놈을 잡아야 행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또 다른 낭패가 그곳에 기다리고 있었다. 암자에는 누가 언제 포박하였는지 땡초란 놈이 암자 기둥에 단단히 결박되어 있던 것이었다. 일행은 다시 한번 아연하여 우두망찰하였다. 땡추가 실토정한 말은 텃밭에서 괭이질하던 바로 그자가 이 산채의 두령이란 것이었다. 어느 놈의 말을 곧이들어야 할지 맹랑한 지경에 빠지고 말았다. 일행은 다시 한번 아연하였다. 홧김에 묶여 있던 땡추란 놈만 애꿎은 몽둥이질을 당하고 말았다.

“하품에 딸꾹질이라더니…망신살이 뻗쳤군.”

뒤통수를 얻어맞은 정한조는 낙심천만으로 얼굴이 파랗게 질리고 말았다. 두령이란 자가 심상하게 볼 위인이 아니라는 것은 짐작하고 있었으나, 똥 마려운 계집 비설거지하듯 갈팡질팡 몰려다니다가 그놈 농락에 놀아나게 될 줄은 몰랐기 때문이다. 산채로 되돌아가 봤자 그놈은 이미 멀리 도망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정한조는 두 사람을 암자에 남게 하고 산채로 돌아갔다. 예상했던 대로 전혀 조급한 기색도 없이 괭이질하던 놈은 진작 자취를 감추고 보이지 않았다. 박원산의 넋두리처럼 “똥 싼 놈은 달아나고 방귀 뀐 놈만 잡은” 꼴이어서 제 발등이라도 찍고 싶었으나 여럿 앞에서 내색할 수 없었다. 잡은 늙은이들과 계집들을 닦달해보았더니 이구동성으로 도망한 위인이 바로 두령 행세하던 놈이란 것이었다. 정한조가 그들을 꿇리고 물었다.

“달아난 놈이 천봉삼이란 자가 아니냐?”

고개를 떨어뜨리고 있던 늙은이가 놀란 눈으로 정한조를 바라보며 말했다.

“나으리, 그 달아난 사람은 천봉삼이 아니올시다. 스님으로 가장하고 암자에서 기거하던 사람이 바로 천봉삼이올시다.”

“그 독두가?”

“그렇습니다. 그 내자 되는 계집은 바로 여기 있습니다.”

“이봐 늙은이, 땡추라 하지만 명색이 스님인데 어찌 내자를 두고 있더란 말인가?”

“머리는 스님으로 행세하기 위해 배코를 친 것이지요.”

“그놈과 무릎맞춤을 해도 틀림없겠다?”

“면질(面質)을 시킨다 해도 틀림없습니다.”

그러고는 봉두난발에 얼굴에는 검댕이가 주렁주렁 매달리고 뒤축 없는 짚신을 질질 끌던 계집을 턱짓으로 가리켰다. 늙은이가 자기를 가리켜 땡추의 내자라고 일러바치는데도 궐녀는 미동도 않고 맨땅에 꿇어앉아 망연자실이었다. 갖은 경난 끝에 얻어낸 초연함으로 다만 먼산바라기로 일관하는 듯했다. 정한조는 그 계집을 대뜸 일으켜세우지 않고 힐끗 일별했다. 문득 궐녀를 고자질한 늙은이의 언사에 계집에 대한 적의를 느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정한조는 다시 한번 계집을 눈여겨보았다. 오합잡놈들 사이에 끼어 앉은 계집의 남루한 행색은 가위 길거리에서 욕받이로 연명하는 비렁뱅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눈여겨보노라면, 어딘가 함부로 범접할 수 없는 결기가 있어 보였다. 계집을 일으켜세워 다짐을 받아내려다 말고 그때까지도 산적들이 취탈한 복물짐 숨겨둔 곳간을 찾겠다고 눈이 시뻘건 곽개천을 불렀다.

2013-07-0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