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오노 나나미 母子의 시네마 토크

시오노 나나미 母子의 시네마 토크

입력 2010-11-20 00:00
수정 2010-11-20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로마에서 말하다】시오노 나나미 지음 한길사 펴냄

‘로마인 이야기’의 저자 시오노 나나미는 2002년 펴낸 ‘나의 인생은 영화관에서 시작되었다’에서 “어릴 적 부모님은 나를 책과 함께 영화로 길러주셨다.”고 썼다. 그녀의 부모가 그랬듯 그녀 역시 자신의 아들을 그렇게 키웠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나고 자란 안토니오 시모네는 대학에서 고고학을 전공했지만 미국 할리우드로 건너가 ‘스파이더 맨2’의 제작 말단 스태프로 참여하는 등 어린 시절의 꿈이었던 영화계에 뛰어들었다.

‘로마에서 말하다’(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난주 옮김, 한길사 펴냄)는 영화광의 유전자를 물려주고, 물려받은 어머니와 아들이 영화를 주제로 나눈 대화의 기록이다. 이들은 1940년대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에서 2000년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까지 시대와 국적, 주제를 가리지 않고 화제의 대상으로 삼는다. 두 사람 모두 영화를 보는 식견이 전문가 못지않은 수준이지만 대화의 형식인 만큼 작품 자체에 대한 딱딱한 평론보다는 영화에 얽힌 다양한 에피소드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2006년 아카데미상 수상작인 ‘크래쉬’와 ‘앙코르’, ‘카포티’에서 미국 영화의 저력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스파르타 전사를 다룬 ‘300’을 보면서는 스파르타식 전투가 왜 사람들을 매료시키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배우와 감독에 대한 대화도 흥미롭다.‘이오지마로부터 온 편지’의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에 대해 시오노는 “역사적 사실 앞에서 겸허해야 하는 역사가로서도 훌륭하다.”고 평하고, 안토니오는 “그의 척추는 인간사회의 현실에 대한 비판 정신으로 가득 차 있다.”고 말한다.

할리우드와 이탈리아에서 영화 제작과정에 참여한 안토니오의 현장 비교체험담도 재밌다. 미국인은 조직을 지나치게 세분화해 숨이 막히고, 이탈리아는 미분화된 탓에 너도나도 한꺼번에 달려들거나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는다거나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영화를 찍으려면 용역업체인 마피아의 손을 빌려야 한다는 이야기들은 흥미를 자아낸다. 1만 5000원.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1-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