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국봉은 왜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졌나/임정자 지음/이경석 그림/문학동네/120쪽/9000원
물고기 뼈, 마른 솔방울, 죽은 딱정벌레4의 날개…. 바닷가 마을에 사는 순지가 주워 모으는 귀한 수집품들이다. 하지만 엄마 눈에는 지저분하고 고릿고릿한 냄새가 나는 쓰레기일 뿐. 엄마는 소리를 빽 지르며 쏘아붙인다. “이딴 거 한 번만 더 주워 오면 집에서 내쫓을 거야!”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엄마의 꽉 막힌 마음, 미운 마음을 모두 갖다버리고 싶은 순지는 묘안을 짜낸다. 엄마의 미운 말만 골라 모아 ‘못난 주머니’에 담기로 한 것. “아이고, 너 때문에 못 살아, 정말!”, “넌 생각이 있니, 없니?” “너 바보니?” 엄마의 미운 말들을 집어넣어 단단히 동여맨 주머니를 순지는 바다로 띄워 보낸다.
하지만 이 못된 주머니가 바닷속으로 들어가자 평화롭던 용궁도 아수라장이 된다. 주머니 밖으로 튀어나온 미운 말들이 서로에게 새빨간 생채기를 내기 시작한다. 상어는 곰치에게 “넌 커서 뭐가 될래?” 버럭 고함을 지르고 곰치는 용왕님께 “넌 생각이 있니, 없니?”라며 대든다.
‘말괴물 사슬’에 묶여 서로 이유도 모른 채 욕을 하고 소리지르고 울부짖는 용궁 식구들. 미운 말들이 움켜쥐었던 흔적으로 저마다의 크고 작은 상처가 남는다. 용궁 식구들은 몹쓸 말괴물의 주인이 누군지 찾아 혼쭐을 내주기로 하는데…. 엄마는 위기를 모면할 수 있을까.
‘강순지는 어떻게 무지막지한 잔소리를 이겼나’의 순지가 엄마의 잔소리를 지혜롭게 이겨냈다면 ‘오국봉은 왜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졌나’의 국봉이는 엄마의 날 선 말과 “꺼져”라는 아빠의 말 한마디에 한순간 땅속으로 꺼져 버린다.
아이들을 어른들의 세계에 가둬버리고, 아이들의 호기심에 상처를 내는 부모님의 잔소리를 향한 화살 같은 동화들이다. 하지만 작가는 풍요롭고 예측 불가능한 상상력으로 부드럽게 다듬은 화살촉으로 어른들을 뜨끔하게 한다. 초등 저학년.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12-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