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Ⅰ·Ⅱ/브랜든 심스 지음/곽영완 옮김/애플미디어/1권 508쪽 2만 4000원, 2권 604쪽 2만 6000원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역사를 보는 관점은 여러 가지가 있다. 유럽의 경우 넓지 않은 땅을 놓고 벌인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오늘날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패권투쟁을 중심으로 역사의 흐름을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작업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역사학과 교수이자 국제학센터 관장인 브랜든 심스의 ‘유럽(EUROPE)’은 근세 이후 오늘날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은 물론 미국의 형성 과정에서 벌어진 분쟁과 갈등을 패권투쟁의 관점에서 다룬다. 서양 역사가들이 유럽 근세의 출발이라고 보는 1453년부터 오늘날까지 이슬람권과의 관계 등 오늘날의 전 세계적인 관심사 또한 조망하고 있다. 1453년은 비잔티움의 마지막 영토였던 콘스탄티노플(오늘날의 터키 이스탄불)이 오스만제국에 의해 함락된 해이자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이 막을 내린 해이다.
나폴레옹, 비스마르크, 히틀러, 처칠, 루스벨트 등 역사 속의 인물들을 소개하면서 동서독은 왜 분리되고 어떻게 통일이 됐는지 그리고 이슬람권과 유럽 및 미국의 갈등, 유럽의 반유대주의 및 이스라엘과 아랍권의 긴장 관계는 어디에 근원을 두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이를 통해 9·11 사태는 왜 일어났으며 우크라이나 사태와 이라크 사태, 발칸 문제 그리고 스코틀랜드 독립 추진의 원인이 됐던 300여년 전 잉글랜드의 강제 통합도 파악할 수 있다.
한국어판은 두 권으로 나뉘어 출간됐다. 1권은 1453년부터 나폴레옹의 패전으로 인한 빈 체제까지, 2권은 비스마르크에 의한 통일독일의 등장 이후 현재까지 유럽과 미·러의 패권투쟁을 담고 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10-1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