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안의 그림자를 깨우기 위해 얼어붙은 맘을 연신 쪼아댔소

내안의 그림자를 깨우기 위해 얼어붙은 맘을 연신 쪼아댔소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3-12 00:20
수정 2015-03-12 0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인 고영 세 번째 시집 ‘딸꾹질의 사이학’

시인 고영이 세 번째 시집 ‘딸꾹질의 사이학’(실천문학사)을 냈다. 2009년 ‘너라는 벼락을 맞았다’ 이후 6년 만이다.

이미지 확대
고영 시인
고영 시인


이미지 확대
이번 시집에선 시인의 자기 갱신이 눈에 띈다. 자신의 삶을 처절히 응시한 데서 비롯된 삶의 비의감이 돋보인다. 삶의 질감과 색채도 짙다. ‘겨울 강’에 투영된 작가의 자기 갱신은 처연하기까지 하다. 작품 속 겨울새들은 얼음 거울 위에 앉아 부리가 닳는 줄도 모르고 거울 속에 박힌 날개를 꺼내기 위해, 바닥에 가라앉은 그림자를 깨우기 위해 연신 얼음을 쪼아댄다.

존재의 본질을 탐구한 점도 두드러진다. ‘뱀이 쓸쓸히 기어간 산길/저녁을 혼자 걸었다//네가 구부러뜨리고 떠난 길/뱀 한 마리가/네 뒤를 따라간 길/뱀이 흘린 길//처음과 끝이 같은 길/입구만 있고/출구가 없는 길//너의 상처를 감추기 위해/너의 입속을 걸었다//뱀의 입속을 걸었다’(뱀의 입속을 걸었다). 슬프고 쓸쓸하기 짝이 없는 도로의 행위에 그쳐버리고 마는 생의 처연함이 묻어난다.

문학평론가 김경복은 “이번 시집에 실린 대다수의 시가 처연의 정서를 우려내는 것은 존재의 본질에 대한 구체적 체험 내지 성찰과 관련된다”며 “시인은 삶과 존재의 문제에 깊이 부딪혀 생의 처연함에 대해 신비한 문양으로 풀어내고 있다”고 평했다.

2004년 월간 ‘현대시’를 통해 등단했다. 제1회 질마재해오름문학상을 받았다. 시인은 “등단 이후 시집 딱 세 권만 내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어느덧 세 권이 됐다. 그사이 참 많은 사물들과 사람들에게 빚을 져 세 권만 내고 말기엔 갚아야 할 은혜가 너무 크다”며 다음 작품을 기약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3-1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