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하트마 간디(1869~1948)에게는 인도의 독립을 이끈 민족운동 지도자이자 정신적 지주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붙는다. 간디는 흠결 없는 지도자였을까. ‘간디와 맞선 사람들’은 보통 인식과는 달리 그의 정치적 신념·사상에 맞섰던 인물을 통해 ‘마하트마 간디’를 다시 보고 있어 눈길을 끈다. 간디와 맞선 이들이 분명히 있었고 그들의 대립 때문에 간디의 비폭력이 더욱 빛을 발할 수 있었다는 접근이 흥미롭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책에 소개된 ‘맞선 자’들은 암베드카르, 보세, 진나, 사바르카르 등 모두 네 명이다. 암베드카르가 불가촉천민 문제의 해법을 놓고 부딪쳤다면, 보세는 독립을 위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누구와도 손을 잡아야 한다면 비폭력 투쟁에 비판적이었다. 진나는 ‘간디와 국민회의가 힌두 중심의 국가를 세우려 한다’면서 무슬림 국가의 분리독립에 적극적이었고, 사바르카르는 거꾸로 간디의 친무슬림적 태도를 비판하며 힌두스탄(힌두의 국가) 건립을 주장해 간디 암살의 배후로 지목됐던 인물이다.
이들이 간디와 대립한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간디의 상은 이렇다. ‘대화와 청원으로, 기도와 단식으로, 때로는 비폭력 실천으로 첨예하고 극단적인 폭력 사태로 치닫는 입장 차를 한데 모아 갔다.’ 그러나 어떤 이들에겐 그런 모습이 답답함으로 비쳤고 또 다른 폭력으로 인식되기도 했다는 것이다. 책은 “간디가 얻고자 한 것은 독립만은 아니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인간의 내면 혹은 진리에 어긋나는 모든 것을 물리치려는 정신, 곧 진리의 추구가 간디의 흠결에도 불구하고 ‘마하트마’(위대한 영혼)이자 인류의 스승으로 칭송되도록 했을 것이라고 매듭짓는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5-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