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이라고는 조금도 모르는 상남씨. 남중, 남고를 나와 공대를 다니다 얼마 전 제대한 복학생이다. 여학생들 앞에선 자신도 모르게 긴장하고, 그래서 괜히 센 척도 해 본다. 그러나 여학생들은 상남씨 마음을 몰라도 너무 몰라준다. 옷장을 열어 보니 군대에서 입던 깔깔이와 국방색 밀리터리룩뿐. 아, 이러니 인기가 없지! 그에게 갈색 니트 스웨터와 같은 색 계열 코르덴 바지를 권한다. 하얀 목도리를 추가하면 금상첨화다.
상남자 상남씨를 비롯해 가슴이 작아 고민인 민자인씨, 허리가 길어서 슬픈 길인씨, 머슬마니아 아령씨 등이 엘비스의 의상실을 찾는다. 그런데 손님들의 모습이 조금 수상하다. 상남씨는 붓꽃 씨앗, 길인씨는 복자기 씨앗, 길인씨는 애기부들, 아령씨는 땅콩이다. ‘숲속 재봉사’로 불리는 저자가 꽃잎, 나뭇잎, 씨앗을 모으고 말려 콜라주로 만든 이들이다. 수상한 손님들의 고민을 듣고 맞춤 처방을 내려 주는 저자의 솜씨가 예사롭지 않다. 조수로 등장하는 미어캣들의 재롱은 덤이다. 올가을, 엘비스 의상실을 방문해 볼까나.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10-12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