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대에 걸친 흑인 여성 가족의 삶과 여정이 헝겊을 이어 붙여야 완성되는 예술품 조각보로 형상화돼 펼쳐진다. 조각보는 미국에 흑인 노예 제도가 있던 시절을 시작으로 남북전쟁, 인종차별 등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겪어 온 참혹한 시간과 이를 딛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할머니, 엄마, 딸로 이어지는 흑인 여성들의 삶이 담긴 길이다. 조각보 문양은 점점 다양하고 화려해지는데 노예 탈출을 돕는 비밀 암호에서 예술품으로, 억압의 시대에서 자유의 시대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우주에 은하수처럼 수놓인 조각보 길은 웅장한 스케일의 흑인 여성 서사이자 작은 여자아이의 손끝에서 시작된 기적이다.
윤수경 기자
2022-03-1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