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공사,200개 상품 실태조사…30만원 미만 상품,가격의 86% 더 들어

한국관광공사와 한국소비자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해외패키지 여행상품 판매 실태 등에 대한 공동조사결과를 23일 발표했다. 공공 기관이 여행상품 구매에서 사후 피해구제까지 종합적으로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기관은 지난 2∼6월 여행사의 사전정보 제공과 소비자 피해 사례, 현지 참여조사, 만족도 등에 대해 동시에 조사를 수행했다.
관광공사가 36개 여행사의 중국·동남아 패키지 여행상품 20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여행상품 사전정보 제공 실태조사에 따르면 상품가격에 세금과 가이드·기사 팁, 선택관광 비용 등 추가비용이 포함된 상품은 17%에 그쳤고, 상품가격 대비 추가비용 비율이 평균 34.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가격이 낮을수록 가격 외 추가비용을 부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상품가격 대비 추가비용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0만원 미만의 저가 상품의 경우 추가비용 비율이 무려 86.4%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총비용 측면에서 사실상 일반상품 가격과 다를 바 없었던 것.


상품가격 외 주요 정보 제공의 경우 여행일정이나 취소규정, 숙박시설 기본정보, 쇼핑 품목, 현지교통수단 정보 등은 비교적 상세히 제공되고 있는 반면, 여행경보단계, 일정 변경 시 사전 동의 고지, 쇼핑 소요시간, 선택 관광 미참여 시 대체일정, 가이드 인적사항 제공 등은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가격만으로 여행상품을 선택하기 보다 추가비용 및 숙박, 쇼핑 등 주요 정보 등에 대해 꼼꼼히 체크한 후 선택해야 한다는 뜻이다.
최근 2년 이내 해외 패키지 여행상품을 구입한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패키지 여행상품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5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여행지·일정(57.3%), 숙소(57.3%) 등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반면, 가이드·인솔자(48.3%), 상품정보 제공수준(43.1%)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조사됐다.
상품정보 제공과 관련해 소비자가 개선을 희망하는 항목은 불포함 내역(60%), 선택관광 정보(43.7%), 여행일정(42.5%) 순이었고, 지역별로는 중국 상품은 불포함 내역, 동남아 상품은 선택관광 정보가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소비자원에 2년간(2011~2012년) 접수된 소비자 피해구제 건수(10만명 당 건수)는 온라인투어(12.98건), 노랑풍선(11.64건), 참좋은여행(11.50건)등의 순으로 많았다. 반면 합의권고 등으로 해결된 피해구제 합의율은 롯데관광(82.4%)이 가장 높았고, 모두투어(78.6%)와 노랑풍선(77.0%)이 뒤를 이었다. 여행사별로는 롯데관광·하나투어, 모두투어가 여행 인원에 비해 소비자피해 건이 상대적으로 적고, 합의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랑풍선의 경우 소비자피해 건과 합의률이 동시에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여행 경험자 2000명을 대상으로 주요 10개 여행사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종합만족도는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하나투어(3.71점)가 가장 높았고, 노랑풍선 등이 뒤를 이었다. 세부 요인별 만족도는 가격 요인에서 참좋은여행, 나머지 4개 요인은 하나투어가 가장 높았다. 투어2000은 5개 요인 모두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소비자원에서 여행객으로 직접 참여한 패키지여행 현지 조사 결과(지역별 2개, 10개 여행사 상품) 다양한 소비자문제가 발견됐다. 약관 설명 및 동의절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쇼핑물품 환불 제한 등 소비자의 권리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약관 조항도 발견됐으며 불공정약관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항공편 시간 변경의 사전 미고지 여행일정의 일방적 변경 및 선택관광의 일방적 진행 위험이 수반되는 여행코스에 대한 안전 시스템 미흡 현지에서 일반적으로 징수하는 경비(가이드 팁)의 ‘권장’ 표시 및 ‘선택관광’ 추가 비용 부담 등도 소비자 불만을 초래하는 요인이었다. 특히 여행 일정 중 기본관광 비중은 평균 21.7%에 불과한 반면 이동·대기시간은 41.1% 달해 여행상품에 대한 불만 원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여행박사 등 2012년 내국인 송객 실적 기준으로 국내 여행업체 순위 10위 안에 든 업체들이 배제돼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손원천 여행전문기자 angle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