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 ‘마이 백 페이지’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마이 백 페이지’

입력 2012-03-16 00:00
수정 2012-03-16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타락한 그대여 가면을 벗어라

‘마이 백 페이지’는 도쿄대 야스다 강당의 학생 저항운동 보도로 시작한다. 1969년 일본학생운동을 상징하는 야스다 강당 공방전이 일어났다. 치열했던 싸움이 끝나고, 한 청년이 폐쇄된 강당의 문을 뜯고 들어온다. 어두운 벽 한쪽에는 유명한 행동강령-연대를 구축하고 고립을 두려워하지 않는다-이 적혀 있다.


68혁명 당시 뜨겁게 불타 올랐던 나라였던 만큼 일본 영화는 종종 그 시기를 되돌아보곤 한다. 이상일의 ‘69’와 이즈쓰 가즈유키의 ‘박치기’가 그런 영화에 해당한다. 고등학생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두 영화의 역동적인 즐거움은 나쁘지 않다. 하지만 혁명의 변두리를 개인적으로 회고하는 유의 영화는 혁명기의 사회 분위기를 전하는 선에서 기능을 다할 따름이다.

근래 나온 일본 영화 중 혁명과 여파를 가장 치열하게 다룬 작품은 와카마쓰 고지의 ‘실록 연합적군’이다. 1971년 일본 좌파 영화의 기념비로 남은 ‘적군/PFLP: 세계전쟁선언’을 만들었던 와카마쓰는 일본 학생운동의 종말을 부른 아사마 산장 사건을 다시 끄집어내 집요하게 파고든다.

‘마이 백 페이지’는 어떤 노선을 택했을까. 전 아사히신문 기자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지만, 혁명을 목격하지 못한 세대인 야마시타 노부히로는 역사에 해박한 척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CCR의 노래나 밥 라펠슨의 영화 등에 기대 시간의 능선을 스리슬쩍 넘어갈 마음도 없다. ‘마이 백 페이지’는 대중적인 저항운동이 막을 내렸지만, 소수의 격렬한 투쟁이 오히려 거셌던 시기의 이면을 다루고자 한다. 그런데 야마시타의 태도가 조금 이상하다.

뜨거웠던 시절을 그린 영화들이 기본적으로 견지하는 치열함이 ‘마이 백 페이지’에는 없다. 영화가 혁명의 시간 중에 하필 1971년을 주목한 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즈음 신화가 된 건 전공투가 아니라 미시마 유키오였다(비록 전공투가 신화를 원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야스다 강당에서 도쿄대 전공투와 열띠게 토론했던 그는 1970년 11월 25일 자위대 총감부 진입 후 할복 자살했고, 마침내 ‘미시마 사건’은 전공투를 패배적 존재로 만들고 만다.

‘마이 백 페이지’는 그 시절의 중심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변경에 머문 두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는다. 흥미로운 건 두 인물이 스스로 순수하다는 최면을 건다는 점이다. 우유부단한 기자 사와다는 중요한 역사의 현장을 목격한다고 착각하고, 무능한 운동가 우메야마는 유명세에 대한 도취를 혁명의 의지라 우긴다.

결국 두 사람이 상대에게 바랐던 건 혁명가와 기자라는 가면이다. ‘마이 백 페이지’는 두 인물이 가면 아래 감춘 진짜 모습을 들춰낸다. ‘나’를 부정하던 전공투를 흉내 내는 우메야마는 기실 나를 우선시하는 속물이었다. 타락한 시대에 인간이 더러워지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인간이 내면의 진짜 인간마저 상실하면 그때는 어떻게 할 것인가. ‘마이 백 페이지’가 작금의 시대에 던지는 질문은 그것이다. 21세기는 풍요롭고 안일한 삶을 누리는 치들이 뻔뻔하게도 유명세를 이용해 민중을 위한 답시고 매일 트위터에 열중하는 시대다. 그들의 가면을 벗기면 과연 어떤 모습이 나올까. ‘마이 백 페이지’는 일본 영화의 미래로 불리는 야마시타의 역작이다. 얼핏 보기에 전작보다 평범하나 분명 깊이와 성숙함을 더했다. 15일 개봉.

영화평론가

2012-03-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