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당 창업주 별세…67년 ‘그 맛’ 지킨 제빵왕

태극당 창업주 별세…67년 ‘그 맛’ 지킨 제빵왕

입력 2013-07-15 00:00
수정 2013-07-15 15: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랜차이즈 대신 ‘직영’ 고집한 최고(最古) 제과점

“내 자식들에게 먹일 수 있는 빵, 그런 빵과 과자를 만들어야 해.”

그가 평생 입버릇처럼 하던 이 한마디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제과점 ‘태극당’을 만든 경쟁력이 됐다.

이 원칙 하나로 67년간 태극당을 이끌어온 창업주 신창근(93)씨가 지난 12일 오후 9시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한때 장인을 도와 태극당에서 일한 셋째 사위 김응서(66)씨는 “평소 조용한 성격이었지만 세워놓은 원칙 하나만은 철저했던 분이셨다”라며 “친구를 좋아하시고 술도 참 좋아하셨는데…”라며 말끝을 흐렸다.

15일 유족 등에 따르면 신씨가 태극당을 창업한 것은 해방 이듬해인 1946년이다.

해방 이전 일본인 제과점에서 일했던 신씨는 해방이 되자 주인이 본국으로 돌아가면서 두고 간 장비를 받아 서울 중구 명동에 제과점을 열고 ‘태극당’이란 간판을 내걸었다.

그가 만들어 팔 수 있었던 것은 ‘셈베이’라고 불렀던 일본식 과자나 유가 사탕 등 캔디류 제품이 대부분이었지만 태극당은 ‘만남의 장소’로 당시 젊은 남녀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특히 당시는 보기 어려웠던 동전을 넣고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주크박스도 설치돼 있어 소위 ‘명동 멋쟁이’로 통했던 예술인들도 자주 찾아 낭만을 즐기던 곳 중 하나였다.

제과사업이 안정기에 접어들자 그는 우유, 계란 등 제과의 원료를 직접 조달하기 위해 낙농업에도 뛰어들었다. 1968년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격려차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그의 농장을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

태극당은 이곳에서 197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지금의 장충동 태극당을 포함, 종로와 혜화동 등 서울시내 10여곳의 지점도 생겨났다.

신씨의 둘째 아들 승열(56)씨는 “당시 태극당은 남녀들이 선을 보는 장소로 손꼽히는 장소 중 하나였다”라며 “대선 후보였던 이회창 씨도 이곳에서 선을 봤다는 얘기도 들었다”고 회상했다.

신씨는 1970년대 후반 서울 강남에 제빵공장을 세우고 태극당 프랜차이즈 사업도 추진했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사업은 엄격한 품질 관리가 쉽지 않다고 판단한 그는 모든 계획을 취소하고 기존의 직영 체제를 고집했다.

1980년대 후반 태극당 지점 확장이 잠시 주춤한 사이 많은 프랜차이즈 빵집들이 공장에서 찍어낸 ‘신상빵’을 내걸고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했다.

’셈베이’와 ‘모나카 아이스크림’ 생산을 고집했던 태극당은 그렇게 대중의 시야에서 멀어졌다. 결국 10여곳에 달하던 태극당 지점은 현재 장충동, 돈암동, 불광동에 단 세 곳만 남았다.

과거에 비해 인기는 많이 떨어졌지만 태극당은 1960∼70년대 젊은 시절을 보냈던 어르신들에게는 너무나도 고마운 ‘타임캡슐’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것들이 쏟아져나오는 이 시대 수십 년 전의 맛을 그대로 지키는 태극당의 존재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고 셋째아들 승열 씨는 힘주어 말했다.

”노인분들이 태극당에 와서 ‘이곳만큼은 정말 바뀌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말씀하시곤 해요. 프랜차이즈를 했으면 성공했을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아서 지킬 수 있었던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태극당을 이끌어 주신 아버지가 자랑스럽습니다.”

연합뉴스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서울시의회 서준오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4)이 지난 25일 S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의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첫 대상지인 노원구 공릉1단지아파트를 찾아 저장강박 의심세대 거주환경 개선과 특별 소독에 직접 참여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공릉1단지 임대단지 내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로 인하여, 인접 거주 세대 및 공용공간 위생이 불량해진다는 민원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SH공사에서 예산을 투입하여 진행했다. 공릉1동 주민센터 및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약 15명과 함께 서준오 의원, 그리고 공릉동을 지역구로 둔 오금란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2)이 구슬땀을 흘렸다.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공릉1단지 아파트는 1994년 12월에 입주한 총 1395세대가 거주하는 SH공사의 영구임대 아파트이다. 지어진 지 30년이 되어 주거환경이 열악한 상태인 탓도 있지만,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의 세대 내 과다한 적치물과 소독거부로 인한 해충 발생, 번식이 주변 주민들을 힘들게 하고 있었다. 서 의원은 매주 일요일, 우원식 국회의장(서울노원구갑)과 함께 노원구 3곳에서 현장민원실을 운영 중인데, 공릉1단지 방역이 필요하다는 민원도 여기에서 접수되었다. 유사한 민원이 지속
thumbnail -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