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농수산물 208억 거래… 국내 최대 오프라인 플랫폼

매일 농수산물 208억 거래… 국내 최대 오프라인 플랫폼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5-06-16 00:12
수정 2025-06-16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통 허브’ 가락농수산물시장

이미지 확대


가락시장은 국내 최대 규모의 농수산물 유통 오프라인 플랫폼이다. 지난 40년간 서울시민의 밥상을 책임졌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가 관리하는 ‘공영 도매시장’인 가락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가락시장)은 서울 동남권 확장과 맞물려 급격한 인구 증가에 따른 유통 인프라 확장 필요성에 대비해 1985년 6월 개장했다. 전국 도매시장 중 가장 많은 물량이 거쳐 가는 유통 허브다. 2023년 기준 거래 물량이 227만t에 이른다. 최근 급성장한 스페인 마드리드시장(연 340만t), 전통의 유럽 최대 도매시장인 프랑스 파리의 헝지스시장(300만t)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다. 미국 뉴욕시장(200만t), 일본 오타시장(102만t)보다 규모가 크다.

가락시장의 거래 금액은 지난해 6조 1837억원에 달했다. 경매가 없는 일요일과 휴장일을 제외하면 하루 평균 207억 5000만원어치가 거래됐다. 농수산물 수송을 위해 드나드는 트럭을 비롯한 차량이 하루 2만 2799대에 이른다. 상주 상인은 총 2769명이고 이 가운데 중도매인이 1474명(53.2%)이다. 청과시장, 채소시장, 수산시장, 건어물 종합상가, 경매장 등이 있으며 축산물 공판장은 2015년 충북 음성으로 옮겼다.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역사는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6년 경매제를 기반으로 한 도매시장이 처음 열렸다. 1939년 서울 중구 중림동에 경성중앙도매시장이 생겼고 1968년 용산(현 용산전자상가)에 나진시장이 개설됐다. 당시 용산시장은 서울 농산물 유통의 70% 이상을 담당한 전국 최대 규모의 도매시장이었다. 그러다 1985년 가락시장이 생기면서 용산 상인들이 옮겨 갔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가락시장은 40년간 ‘경매제’를 통해 농수산물 유통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과거 중간 위탁상이 소매상인에게 비싸게 팔고 농어민에게는 제값을 지급하지 않는 일명 ‘칼질’이란 불공정 거래 관행은 점점 설 자리를 잃게 됐다. 산지 농어민과 소매상, 소비자가 상생하는 유통 구조로 자리잡은 것이다.
2025-06-1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