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다큐] 천년고찰의 울력, 오대산 월정사 김장하는 날

오대산 월정사 공양간 마당에서 김장울력이 한창이다. 수행자와 신도들이 같이하는 김장은 산사에서 겨울을 준비하는 데 가장 공을 들이는 대표적인 ‘울력품목’이다.

사찰 김장의 양념으로는 표고버섯과 다시마, 무를 가마솥에 넣고 장시간 끓인 채수를 사용한다.
그중에서도 수행자와 신도들이 같이하는 김장은 산사에서 겨울을 준비하는 데 가장 공을 들이는 대표적인 ‘울력품목’이다. 월정사 주지인 퇴우 정념 스님은 ‘울력’이 ‘수행의 중요한 한 과정’이라면서 “울력 소리가 들리면 송장도 일어난다는 우스갯말이 있듯이 절집 공동체 생활의 중심이며 일일부작 일일불식(一日不作 一日不食)이라는 선종(禪宗)의 수행준칙과 육화(六和)정신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일일이 썰어서 만드는 무채.

공양간에서 양념소의 재료인 청각을 다지는 스님들.

김장울력에 동참한 신도들의 손놀림이 활기차다.
절집의 김장은 속세와 많이 다르다. 김치의 내용물에 일체의 육류를 금한다. 젓갈이나 육수, 액젓 등을 대신해 표고버섯과 다시마, 무를 가마솥에 넣고 장시간 끓인 채수(菜水)를 사용한다. 양념소에도 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등 오신채(五辛菜)와 양파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성질이 맵고, 향이 강하기 때문에 마음을 흩뜨려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 대신 무, 배, 청각, 양념갓, 통깨, 생강, 찹쌀풀 등을 쓴다. 30여년 동안 월정사를 다닌 안심도 보살은 가마솥에 재료를 넣으며 “십수년 전부터 채수를 끓여 왔다. 울력은 나눔과 자비를 실천하는 일 같아서 정성을 다해 기쁜 마음으로 동참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운 감자와 고구마는 김장울력 도중에 맛보는 별미다.

절여진 배추와 무는 공양간 마당에서 하룻밤을 지낸다.
산사는 다시 수행자들의 공간으로 돌아가고, 스님들의 법고(法鼓) 소리만 밤을 가득 메운다.
글 사진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2019-11-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