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비대위원장 등에 직접 전화 협조 요청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15일 야당 수뇌부에 정부조직개편안의 국회 통과 협조를 요청했다. 새 정부 출범(25일)을 열흘 앞둔 상황에서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여야 간 협상이 진척되는 기미를 보이지 않자 당선인이 직접 설득에 나선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5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열린 여성문화분과 국정과제토론회에서 참석자들과 웃으며 인사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여성문화분과 토론회 참석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5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열린 여성문화분과 국정과제토론회에서 참석자들과 웃으며 인사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5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열린 여성문화분과 국정과제토론회에서 참석자들과 웃으며 인사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 당선인은 이날 문희상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박기춘 원내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정부조직법을 좀 많이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문 비대위원장이 “여당의 협상창구에 있는 사람들이 원안 고수를 주장하며 한발짝도 안 나가니 야당이 할 일이 없지 않느냐.”면서 “도와드릴래야 도와드릴 수가 없지 않느냐”고 반문하자 박 당선인은 “그래도 도와달라”고 거듭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당선인이 지난 7일 북핵3자 회동 뒤 문 비대위원장과 연락한 것은 처음이다.
한편 박 당선인은 이날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열린 여성문화분과 국정과제토론회에서 “정부조직개편안이 하루빨리 통과되지 못하면 새 정부는 조각과 인선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며 “새 정부가 제대로 출범할 수 있도록 야당에서 한번 도와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여야는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해 협상을 벌여왔지만 1차 국회처리 시한인 14일을 넘긴 뒤에도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조직개편안 원안을 고수하고 있지만 민주당은 ▲국가청렴위원회 및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 설치 ▲중소기업청 강화 및 금융정책·규제 분리 ▲방송통신위원회 독립성 보장 ▲통상교섭 기능 관련 ‘통상교섭처’ 신설 또는 ‘외교통상부’ 형태 유지 ▲원자력안전위원회 독립성 보장 ▲산학협력 기능 교과부 존치의 6가지 요구 사항을 내걸고 있다.
여야 간 이견이 맞서면서 2차 처리 시한인 18일 처리도 사실상 물 건너 간 상황이다. 정부조직개편안에 따라 일부 부처 장관 인선도 변할 수 있어 당선인 측에서는 시간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 이에 민주통합당은 “정부조직법 개편안 지연에 대한 책임을 야당에 떠넘기려 하고 있다”며 “박 당선인 측이 협상은 하지 않은 채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내가 옳으니 따르라’는 식”이라고 비판했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3-02-1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