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 투톱… 당청 쇄신·증세 기싸움
새누리당 새 원내대표에 ‘비박(비박근혜)계’ 유승민(3선) 의원이 2일 당선됐다.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서 유 의원과 정책위의장에 러닝메이트로 출마한 원유철(4선) 의원은 출석의원 149명 중 84표의 선택으로, 이주영(4선)·홍문종(3선) 의원을 19표 차로 누르고 원내 사령탑에 올랐다. 이로써 새누리당 지도부는 올 초 김무성 대표의 수첩을 통해 청와대 문건 유출 배후로 지목됐던 이른바 ‘K·Y(김무성·유승민) 라인’의 비박계가 장악하게 됐다. 당 대표와 원내대표 투톱 모두 ‘원박’(원조 친박)의 정치 이력을 가진 비박 인물이 포진하게 된 셈이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새누리당 유승민(오른쪽)·원유철(왼쪽) 의원이 2일 의원총회에서 새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에 선출된 뒤 김무성 대표와 손을 맞잡고 들어 올리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당·청 관계에는 적지 않은 변화가 전망된다. 유 신임 원내대표가 경선 기간 ‘당 중심의 국정 운영’, ‘총선 승리를 이끌 정책 변화’ 등을 내세웠다는 점에서 당·청 관계의 균형추를 당으로 끌어오려는 노력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정책 주도권을 둘러싼 당·청 간 기 싸움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유 원내대표 체제의 등장은 후속 개각과 청와대 비서실장 및 정무특보단 구성 등 박근혜 대통령의 인선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청와대 인적 쇄신에 대한 당내 요구가 경선에 투영됐다는 점에서 친박 일색의 후속 인선으로는 당·청 간 간극이 더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권 내 권력 재편은 비박계와 친박 비주류가 중심에 서는 방향성이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해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과 국회의장 후보 경선, 7·14 전당대회에 이어 이번 원내대표 경선까지 친박 진영은 ‘4연패’에 빠졌다. 친박 주류의 당내 입지가 협소해졌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5-02-0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